카테고리 없음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for the same)

좌절하지말자 2018. 3. 3. 23:17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12월02일
(11) 등록번호 10-1333680
(24) 등록일자 2013년11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9G 3/36 (2006.01) G09G 3/34 (2006.01)
G09G 3/20 (2006.01) G02F 1/133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36065
(22) 출원일자 2007년04월12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4월05일
(65) 공개번호 10-2008-0092581
(43) 공개일자 2008년10월1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5258403 A*
JP2001142409 A
WO2007007472 A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삼성전자주식회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매탄동)
(72) 발명자
첸한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로290번길 25, 신나무
실5단지아파트 516동 1605호 (영통동)
박영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진산로 90, 삼성5차아파트
504동 902호 (풍덕천동)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정홍식
전체 청구항 수 : 총 27 항 심사관 : 추장희
(54) 발명의 명칭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
(57) 요 약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패널
부, 영상신호가 가시화되도록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빛이 제공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 그리고, 부분영역별로 제공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영
상신호에 포함된 화소값을 부분영역별로 보상하는 패널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부분영역별로 밝기를 조정
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333680
- 1 -
(72) 발명자
성준호
서울 서초구 방배4동 현대아파트 206동 1005호
최훈
경기도 화성시 영통로27번길 53, 신영통현대2차아
파트 210동 1302호 (반월동)
정준호
서울특별시 금천구 한내로 62, 독산 5동 701호 (독
산동, 한신아파트)
등록특허 10-1333680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패널부;
상기 영상신호가 가시화되도록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빛이 제공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 및
상기 부분영역별로 제공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화
소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보상하는 패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밝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부분밝기 조정부; 및
상기 부분밝기 조정부에서 산출한 상기 부분영역에 대한 대표값 및 상기 보상된 화소값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부
의 부분영역별로 동일한 비율로 조정함으로써 화면 전체의 밝기가 동일한 비율로 조정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
어하는 전체밝기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발광제어부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로 상기 화소값
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기 부분영역별 RGB화소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청구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에 적용하여,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R,G,B는 보상 전의 화소값, R',G',B'은 보상된 화소값, 및 fc는 보상계수.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등록특허 10-1333680
- 3 -
상기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fc(i,j)는 (i,j)번째 화소의 보상계수, Thr은 보상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 fb(i,j)는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휘도값, LUTBLU(fb(i,j))는 fb(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Y(i,j)=max(R(i,j),G(i,j),B(i,j)), 및 LUTGRAY(Y(i,j))는 Y(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청구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보상된 휘도값은 다음 수식을 통해 추정된 휘도값을 보간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
치.
상기 수식에서, fE(m,n)은 m×n으로 분할된 한 화면에서 부분영역별로 추정된 휘도값, BLK_NUM은 전체 부분영역
의 개수, LLD(k)는 부분영역(k)의 대표값, 및 Wk(m,n)은 (m,n)번째 부분영역(k)의 광 프로파일 데이터.
청구항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RGB화소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 상기 부분영역별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 후, 다
음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 초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Linit(k)는 부분영역(k)의 초기 대표값, L_Thr은 부분영역(k)의 밝기 보상을 위한 계수, BLK_NUM
은 전체 부분영역의 개수, Nh는 그레이 레벨의 개수, N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
째 그레이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M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의 평균화소값.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초기 대표값에 대해 공간 필터링 및 시간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청구항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보상된 상기 화소값에 의해 상기 대표값이 조정되어 발생하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특허 10-1333680
- 4 -
디스플레이장치.
청구항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화면 전체에 대해 상기 대표값을 동일한 비율로 조정하기 위한 상기 비율을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RGD는 상기 비율, A는 컷오프 그레이 레벨, 및 Thr2는 0~1 범위의 문턱값.
청구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 그레이 레벨은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최대 그레이 레벨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g는 0~255까지의 그레이 레벨, H(g)는 그레이 레벨 g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Cut_Thr은 그
레이 레벨 0~A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가 복수가 되는 기설정된 문턱값.
청구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다음 수식을 통해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수식에서, fIIR은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로우 패스 필터, 및 γ는 감마 보상계수.
청구항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R'G'B' 화소값을 디더링하여, 윤곽선 아티팩트(Contour artifact)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
레이장치.
청구항 14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패널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가시화되도록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빛이 제공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등록특허 10-1333680
- 5 -
상기 부분영역별로 제공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상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화
소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부분밝기 조정부가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밝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걔; 및
전체밝기 조정부가 상기 부분밝기 조정부에서 산출한 상기 부분영역에 대한 대표값 및 상기 보상된 화소값을 이
용하여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동일한 비율로 조정함으로써 화면 전체의 밝기가 동일한 비율로 조정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청구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해 발광제어부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로 상기 화소값을 보
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청구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기 부분영역별 RGB화소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
법.
청구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에 적용하여,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상기 수식에서, R,G,B는 보상 전의 화소값, R',G',B'은 보상된 화소값, 및 fc는 보상계수.
청구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상기 수식에서, fc(i,j)는 (i,j)번째 화소의 보상계수, Thr은 보상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 fb(i,j)는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휘도값, LUTBLU(fb(i,j))는 fb(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등록특허 10-1333680
- 6 -
Y(i,j)=max(R(i,j),G(i,j),B(i,j)), 및 LUTGRAY(Y(i,j))는 Y(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청구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된 휘도값은 다음 수식을 통해 추정된 휘도값을 보간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
치의 밝기 조정방법.
상기 수식에서, fE(m,n)은 m×n으로 분할된 한 화면에서 부분영역별로 추정된 휘도값, BLK_NUM은 전체 부분영역
의 개수, LLD(k)는 부분영역(k)의 대표값, 및 Wk(m,n)은 (m,n)번째 부분영역(k)의 광 프로파일 데이터.
청구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RGB화소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 상기 부분영역별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 후, 다
음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 초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
방법.
상기 수식에서, Linit(k)는 부분영역(k)의 초기 대표값, L_Thr은 부분영역(k)의 밝기 보상을 위한 계수, BLK_NUM
은 전체 부분영역의 개수, Nh는 그레이 레벨의 개수, N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
째 그레이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M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의 평균화소값.
청구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대표값에 대해 공간 필터링 및 시간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출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청구항 22
제15항에 있어서,
보상된 상기 화소값에 의해 상기 대표값이 조정되어 발생하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청구항 23
제17항에 있어서,
화면 전체에 대해 상기 대표값을 동일한 비율로 조정하기 위한 상기 비율을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등록특허 10-1333680
- 7 -
상기 수식에서, RGD는 상기 비율, A는 컷오프 그레이 레벨, 및 Thr2는 0~1 범위의 문턱값.
청구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 그레이 레벨은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최대 그레이 레벨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상기 수식에서, g는 0~255까지의 그레이 레벨, H(g)는 그레이 레벨 g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Cut_Thr은 그
레이 레벨 0~A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가 복수가 되는 기설정된 문턱값.
청구항 25
제23항에 있어서,
다음 수식을 통해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의 밝기 조정방법.
상기 수식에서, fIIR은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로우 패스 필터, 및 γ는 감마 보상계수.
청구항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R'G'B' 화소값을 디더링하여, 윤곽선 아티팩트(Contour artifact)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
청구항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LED(Light-Emitting Diode), 복수의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복수의 FED(Field-Effect
Diode), 및 복수의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등록특허 10-1333680
- 8 -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0014]
여, 화면의 부분영역별로 밝기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TV나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에 영상을[0015]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스스로 빛을 발생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별
도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LCD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후면
에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액정패널이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종래에는 액정패널 전체에 빛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유니폼 백라이트(Uniform Backlight)를 LCD의 발광부에 주로[0016]
사용해왔다. 이러한 유니폼 백라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어두운 영상 및 밝은 영상이 모두 동일한 밝기의 빛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로 인해, 불꽃놀이나 폭발장면과 같은 영상에서는 부분적으로 높은 휘도를 요하는 부분
이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방법이 없어 생동감 있는 영상을 표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유니폼 백라이트에서 생성된 빛이 액정패널에 입사되어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LCD는 화소값이 '0'인[0017]
블랙 영상을 트루(True) 블랙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못하여, 화면 전체의 명암비가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낮은 밝기의 빛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두운 영상에도 유니폼 백라이트에서 동일한 밝기의 빛이 발생하
여 전력이 낭비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화면의 부분영역별로[0018]
발광부의 밝기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분영역별로 밝기가 조정된 발광부에 의해 영상신호가 손실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0019]
기 위해, 부분영역별로 화소값을 보상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영상신호에 따라, 전체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고,[0020]
전체 화면의 화소값을 보상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패널부, 상기 영상신호가 가[0021]
시화되도록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빛이 제공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 및 상기 부분영역별로 제공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상
기 영상신호에 포함된 화소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보상하는 패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발광제어부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0022]
역별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제어부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기 부분영역별 RGB화소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0023]
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에 적용하여,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0024]
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5]
[0026]
[0027]
상기 수식에서, R,G,B는 보상 전의 화소값, R',G',B'은 보상된 화소값, 및 fc는 보상계수이다.[0028]
등록특허 10-1333680
- 9 -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29]
[0030]
상기 수식에서, fc(i,j)는 (i,j)번째 화소의 보상계수, Thr은 보상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 fb(i,j)는[0031]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휘도값, LUTBLU(fb(i,j))는 fb(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Y(i,j)=max(R(i,j),G(i,j),B(i,j)), 및 LUTGRAY(Y(i,j))는 Y(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이다.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보상된 휘도값은 다음 수식을 통해 추정된 휘도값을 보간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0032]
한다.
[0033]
상기 수식에서, fE(m,n)은 m×n으로 분할된 한 화면에서 부분영역별로 추정된 휘도값, BLK_NUM은 전체 부분영역[0034]
의 개수, LLD(k)는 부분영역(k)의 대표값, 및 Wk(m,n)은 (m,n)번째 부분영역(k)의 광 프로파일 데이터이다.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RGB화소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 상기 부분영역별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0035]
램을 산출한 후,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 초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36]
상기 수식에서, Linit(k)는 부분영역(k)의 초기 대표값, L_Thr은 부분영역(k)의 밝기 보상을 위한 계수, BLK_NUM[0037]
은 전체 부분영역의 개수, Nh는 그레이 레벨의 개수, N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
째 그레이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M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의 평균화소값이다.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초기 대표값에 대해 공간 필터링 및 시간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0038]
위한 대표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제어부는 보상된 상기 화소값에 의해 상기 대표값이 조정되어 발생하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하는[0039]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제어부는 화면 전체에 대해 상기 대표값을 동일한 비율로 조정하기 위한 상기 비율을 다음 수식을 통[0040]
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41]
상기 수식에서, RGD는 상기 비율, A는 컷오프 그레이 레벨, 및 Thr2는 0~1 범위의 문턱값이다.[0042]
상기 컷오프 그레이 레벨은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최대 그레이 레벨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3]
[0044]
상기 수식에서, g는 0~255까지의 그레이 레벨, H(g)는 그레이 레벨 g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Cut_Thr은 그[0045]
레이 레벨 0~A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가 복수가 되는 기설정된 문턱값이다.
등록특허 10-1333680
- 10 -
상기 패널제어부는 다음 수식을 통해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6]
[0047]
[0048]
[0049]
상기 수식에서, fIIR은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로우 패스 필터, 및 γ는 감마 보상계수이다.[0050]
상기 패널제어부는 상기 R'G'B' 화소값을 디더링하여, 윤곽선 아티팩트(Contour artifact)를 제거하는 것을 특[0051]
징으로 한다.
한편,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패널부 및 상기 영상신호가 가시화되도록 상기 패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포[0052]
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은 상기 패널부의 부분영역별로 빛이 제공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
는 단계, 및 상기 부분영역별로 제공되는 빛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상기 영상신호
에 포함된 화소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발광제어부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이용하여,[0053]
상기 부분영역별로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상기 부분영역별 RGB화소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패널부에[0054]
빛을 제공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상기 부분영역별로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에 적용하여, 보상된 R'G'[0055]
B'화소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56]
[0057]
[0058]
상기 수식에서, R,G,B는 보상 전의 화소값, R',G',B'은 보상된 화소값, 및 fc는 보상계수이다.[0059]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계수를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60]
[0061]
상기 수식에서, fc(i,j)는 (i,j)번째 화소의 보상계수, Thr은 보상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 fb(i,j)는[0062]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휘도값, LUTBLU(fb(i,j))는 fb(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Y(i,j)=max(R(i,j),G(i,j),B(i,j)), 및 LUTGRAY(Y(i,j))는 Y(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이다.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된 휘도값은 다음 수식을 통해 추정된 휘도값을 보간하여 산출되는 것[0063]
을 특징으로 한다.
[0064]
등록특허 10-1333680
- 11 -
상기 수식에서, fE(m,n)은 m×n으로 분할된 한 화면에서 부분영역별로 추정된 휘도값, BLK_NUM은 전체 부분영역[0065]
의 개수, LLD(k)는 부분영역(k)의 대표값, 및 Wk(m,n)은 (m,n)번째 부분영역(k)의 광 프로파일 데이터이다.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RGB화소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 상기 부분영역별 그레이[0066]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 후,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부분영역별 초기 대표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67]
상기 수식에서, Linit(k)는 부분영역(k)의 초기 대표값, L_Thr은 부분영역(k)의 밝기 보상을 위한 계수, BLK_NUM[0068]
은 전체 부분영역의 개수, Nh는 그레이 레벨의 개수, N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
째 그레이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M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의 평균화소값이다.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대표값에 대해 공간 필터링 및 시간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부[0069]
를 제어하기 위한 대표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은 보상된 상기 화소값에 의해 상기 대표값이 조정되어 발생[0070]
하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화면 전체에 대해 상기 대표값을 동일한 비율로 조정하기 위한 상기 비율을 다음 수식을 통해 산출하는[007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72]
상기 수식에서, RGD는 상기 비율, A는 컷오프 그레이 레벨, 및 Thr2는 0~1 범위의 문턱값이다.[0073]
여기서, 상기 컷오프 그레이 레벨은 다음 수식을 만족하는 최대 그레이 레벨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0074]
[0075]
상기 수식에서, g는 0~255까지의 그레이 레벨, H(g)는 그레이 레벨 g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및 Cut_Thr은 그[0076]
레이 레벨 0~A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가 복수가 되는 기설정된 문턱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은 다음 수식을 통해 보상된 R''G''B''화소값을 산출하는 단계[0077]
를 더 포함한다.
[0078]
[0079]
[0080]
상기 수식에서, fIIR은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로우 패스 필터, 및 γ는 감마 보상계수이다.[0081]
상기 화소값을 보상하는 단계는 상기 R'G'B' 화소값을 디더링하여, 윤곽선 아티팩트(Contour artifact)를 제거[0082]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LED(Light-Emitting Diode), 복수의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0083]
복수의 FED(Field-Effect Diode), 및 복수의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중, 적어도
등록특허 10-1333680
- 12 -
어느 한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0084]
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0085]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처리부(100), 발광제어부(200), 패널제어부(300), 발광[0086]
부(400), 및 패널부(500)를 포함한다.
발광부(400)는 빛을 발생하는 복수의 발광체를 포함하며, 복수의 부분영역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면, 발광부[0087]
(400)는 8×8로 분할된 64개의 부분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각각의 부분영역은 밝기가 동일하
게 제어되는 복수의 발광체로 구성된다. 발광체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응답속도가 빠른 LED(Light-Emitting
Diode)가 있으며, 이 외에도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FED(Field-Effect Diode), 및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등이 발광체로 사용될 수 있다.
패널부(500)는 발광부(400)에서 발생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신호가 가시화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0088]
록 한다. 이러한 패널부(500)는 전극이 생성된 두 기판이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이 주입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기장이 생성되어,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
정 물질의 분자를 움직이게 하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영상신호처리부(10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패널부(500)의 해상도에 적합하게 신호처리하여 RGB 영상신호로 출[0089]
력한다.
발광제어부(200)는 영상신호처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RGB 영상신호에 따라, 발광부(400)를 제어하여, 발광부[0090]
(40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체의 밝기를 조정한다. 이러한 발광제어부(200)는 부분밝기조정부(210) 및 전체밝기
조정부(230)를 포함한다.
부분밝기조정부(210)는 RGB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산출된 휘도(Luminance) 값에 따라, 화면의 부분영역별로 밝기[0091]
가 조정되도록 발광부(400)를 제어한다. 즉, 각각의 부분영역에 표시되는 RGB 화소값을 이용하여, 발광부(400)
의 각 부분영역에 포함된 발광체의 밝기조절에 적용될 대표값을 산출한다.
전체밝기조정부(230)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에 따라, 화면 전체의 밝기가 조정되도록 각 부분영역의 대[0092]
표값을 동일한 비율로 조정한다. 즉, 전체적으로 어두운 영상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화면 전체의 밝기가 동
일한 비율로 낮아지도록 발광부(400)를 제어한다. 여기서, 화면 전체의 밝기는 후술 되는 부분화소값보상부
(310)에서 출력되는 R'G'B' 화소값을 참조하여 조절된다.
패널제어부(300)는 화면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신호처리부(100)에서 출력되는 RGB 영상신호를 이용[0093]
하여 패널부(500)에 표시될 화소값을 보상한다. 이러한 패널제어부(300)는 부분화소값보상부(310) 및 전체화소
값보상부(330)를 포함한다.
부분화소값보상부(310)는 부분영역별로 밝기가 조정된 발광부(400)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신호의 손실이 보상되[0094]
도록 부분영역별로 RGB 화소값을 보상한다. 즉, 부분밝기조정부(210)의 부분영역별 밝기조정에 의해 발생하는
아티팩트(Artifact)가 제거되도록 RGB 화소값을 보상하여 출력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부분화소값보상부(310)는 부분밝기조정부(210)에서 산출된 대표값을 이용하여, 한 화면[0095]
에 대한 광 프로파일이 적용된 휘도값을 부분영역별로 추정한다. 그리고, 추정된 휘도값에 의해 발생하는 블로
킹 현상(Blocking Artifacts)이 제거되도록 추정된 휘도값을 보상한다. 그리고, 보상된 휘도값을 이용하여 부분
영역별 보상계수를 산출한 후, 산출된 보상계수를 이용하여 RGB 화소값을 보상한 R'G'B' 화소값을 출력한다.
전체화소값보상부(330)는 전체밝기조정부(230)에 의해 각 부분영역의 대표값이 동일한 비율로 조정되어 화면 전[0096]
체의 밝기 변화를 보상한다. 즉, 전체밝기조정부(230)에 의해 화면 전체의 밝기가 동일한 비율로 낮아지도록 발
광부(400)가 제어되는 경우, 어두운 영역에서의 명암비가 감소 되어 화질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원래의 밝기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각 부분영역의 대표값이 동일하게 조정된 비율에 따라, R'G'B' 화소값을 보상하
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발광제어부(200) 및 패널제어부(30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0097]
등록특허 10-1333680
- 1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009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대표값 연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제어부(200)는 히스토그램산출부(211), 휘도값산출부(213), 공간필터부(215), 및 시간필[0099]
터부(217)를 포함하는 부분밝기조정부(210) 및 전체밝기조정부(230)를 포함한다.
히스토그램산출부(2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0100]
다. 이때, 히스토그램산출부(211)는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화소값을 이용하여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다.
수학식 1
[0101]
수학식 1에서, Y(i,j)는 (i,j)에 위치한 화소의 휘도값, R(i,j)는 (i,j)에 위치한 화소의 R 화소값, G(i,j)는[0102]
(i,j)에 위치한 화소의 G 화소값, 및 B(i,j)는 (i,j)에 위치한 화소의 B 화소값이다. 수학식 1은 (i,j)에 위치
한 RGB 화소값 중, 가장 큰 화소값을 (i,j)에 위치한 화소의 휘도값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
나의 부분영역(k)에 포함된 화소들의 휘도값을 산출하여,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다.
여기서, 히스토그램산출부(211)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1024×768로 형성된 한 화면을 구성하는 모든 부분[0103]
영역들에 대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산출한다.
휘도값산출부(213)는 그레이 레벨 히스토그램을 수학식 2에 적용하여, 각 부분영역에 대한 초기 대표값을 산출[0104]
한다.
수학식 2
[0105]
수학식 2에서, Linit(k)는 부분영역(k)의 초기 대표값, L_Thr은 부분영역(k)의 밝기 보상을 위한 계수로써 기 설[0106]
정된 값, BLK_NUM은 전체 부분영역의 개수, Nh는 그레이 레벨의 개수, N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
스토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그리고, Mi는 부분영역(k)에 대한 그레이 레벨 히스토
그램에서 i번째 그레이 레벨의 평균화소값이다. 도 3을 예로 들면, Nh=8, Ni는 R0 내지 R7 각각에 해당하는 화소
의 개수, Mi는 R0 내지 R7에서의 평균화소값이다.
공간필터부(215)는 초기 대표값(Linit)을 공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즉, 발광부(400)의 각 부분영역에 초기 대[0107]
표값(Linit)이 주어지는 경우, 각 부분영역의 밝기 차이로 인해 정지영상에서 층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없애기
위해, 초기 대표값(Linit)을 공간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공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대표값(Ls)를 출력한다.
시간필터부(217)는 필터링된 대표값(Ls)을 시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즉, 발광부(400)의 각 부분영역에 필터링[0108]
된 대표값(Ls)이 주어지는 경우, 각 부분영역의 밝기 차이로 인해 동영상에서 영상의 깜빡거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없애기 위해, 대표값(Ls)을 시간 로우패스 필터를 통해 시간 필터링하여 대표값(LLD)을 출력한다.
전체밝기조정부(230)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화면 전체의 밝기를 부분화소값부상부(310)에서 보상되어 출력되는[0109]
R'G'B' 화소값에 따라 조정한다.
수학식 3
[0110]
등록특허 10-1333680
- 14 -
수학식 3에서, Lout(k)는 부분영역(k)에 포함된 발광체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최종값, 그리고, RGD는 화면 전체[0111]
의 조정 비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화면 전체 밝기 조정방법을 설명하[0112]
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전체의 밝기를 동일한 비율(ratio R)로 조정하며, 이러한 비
율은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된다.
수학식 4
[0113]
수학식 4에서, RGD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한 비율, A는 컷오프 그레이 레벨로써, 백색 가우[0114]
시안 잡음을 배제한 부분영역에 대한 화소들의 최대 그레이 레벨, 그리고, Thr2는 0~1 범위의 문턱값이다.
여기서, A는 수학식 5를 만족하는 최대 그레이 레벨값이다.[0115]
수학식 5
[0116]
수학식 5에서, g는 0~255까지의 그레이 레벨, H(g)는 그레이 레벨 g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 그리고, Cut_Thr[0117]
은 그레이 레벨 0~A에 해당하는 화소의 개수가 복수가 되는 기설정된 문턱값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패널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6 내[0118]
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패널제어부의 화소값 보상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널제어부(300)는 휘도값추정부(311), 제1LUT저장부(314), 휘도값보간부(313), 제2LUT저장부[0119]
(314), 보상계수산출부(315), 화소값보상부(316), 및 디더부(317)를 포함하는 부분화소값보상부(310) 및 전체화
소값보상부(330)를 포함한다.
휘도값추정부(311)는 부분밝기조정부(210)에서 산출된 대표값(LLD)을 다음 수학식 6에 적용하여, 각 부분영역에[0120]
서의 휘도값을 추정한다.
수학식 6
[0121]
상기 수학식 6에서, fE(m,n)은 m×n으로 분할된 한 화면에서 부분영역별로 추정된 휘도값, BLK_NUM은 전체 부분[0122]
영역의 개수, LLD(k)는 부분영역(k)의 대표값, 및 Wk(m,n)은 (m,n)번째 부분영역(k)의 광 프로파일 데이터이다.
제1LUT저장부(314)에는 광 프로파일 데이터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은 룩업테이블로 저장된다. 도 6에는 임의[0123]
의 부분영역(k)이 ON되고, 나머지 부분영역이 모두 OFF인 경우, 각 부분영역의 중심에서 측정한 광 프로파일 데
이터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ON된 부분영역의 휘도값이 가장 크며, 주변으로 갈수록 휘도값이
차츰 작아지게 된다.
휘도값보간부(313)는 추정된 휘도값(fE)을 이용하여, 각 부분영역의 (i,j)번째 화소값을 보간한다. 즉, 부분밝[0124]
기조정부(210)에서 출력된 대표값(LLD)을 발광부(400)에 적용하게 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부분
영역이 추정된 휘도값(fE)을 갖게되어, 블로킹 아티팩트(Block Artifact)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블로킹 아티
팩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추정된 휘도값(fE)에 쌍입방(Bi-cubic) 보간법이나 쌍선형(Bi-linear) 보간
등록특허 10-1333680
- 15 -
법을 적용하여,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화소값(fb)을 산출한다.
제2LUT저장부(314)에는 도 8a 및 도 8b에 예시한 룩업테이블이 저장된다. 즉, 후술 되는 보상계수산출부(315)에[0125]
서 보상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화소값(fb)을 보정하는데 필요한 제1룩업테이블
(LUTBLU), 및 (i,j)번째 화소의 휘도값(Y)를 보정하는데 필요한 제2룩업테이블(LUTGRAY)이 저장된다.
보상계수산출부(315)는 제2LUT저장부(314)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학식 7을 통해 보상계수를 산출[0126]
한다.
수학식 7
[0127]
수학식 7에서, fc(i,j)는 (i,j)번째 화소의 보상계수, Thr은 보상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변수, fb(i,j)는[0128]
(i,j)번째 화소의 보간된 휘도값, LUTBLU(fb(i,j))는 fb(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
Y(i,j)=max(R(i,j),G(i,j),B(i,j)), 및 LUTGRAY(Y(i,j))는 Y(i,j)를 룩업테이블을 통해 보정한 값이다.
화소값보상부(316)는 보상계수산출부(315)에서 산출된 보상계수를 이용하여, 수학식 8을 통해 RGB 화소값을 보[0129]
상하여 R'G'B' 화소값을 출력한다.
수학식 8
[0130]
[0131]
[0132]
수학식 8에서, fc는 RGB 화소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계수이며, 255와 보상계수에 의해 보상된 화소값 중, 작은[0133]
값을 선택하여, R'G'B' 화소값이 최대 휘도값인 255를 넘어 영상이 포화(Saturation)되지 않도록 한다.
디더부(317)는 화소값보상부(316)에서 출력되는 R'G'B' 화소값을 디더링하여 출력한다. 즉, 화소값보상부(316)[0134]
에서 출력되는 R'G'B' 화소값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되면, 윤곽선(Contour) 아티팩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해 디더링을 수행하게 된다.
전체화소값보상부(330)는 디더부(317)에서 디더링된 R'G'B 화소값을 이용하여, 전체밝기조정부(230)에 의해 변[0135]
화된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한다. 즉, 전체화소값보상부(330)는 수학식 9를 이용하여, R'G'B' 화소값을 보상
하여 R"G"B" 화소값을 출력한다.
수학식 9
[0136]
[0137]
[0138]
수학식 9에서, Rre는 전체밝기조정부(230)에 의해 변화된 화면 전체의 밝기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이며, 255와 계[0139]
수에 의해 보상된 화소값 중, 작은 값을 선택하여, R"G"B" 화소값이 최대 휘도값인 255를 넘어 영상이 포화
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Rre는 화면 전체의 밝기를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한 비율 RGD를 수학식 10에 적용하여
등록특허 10-1333680
- 16 -
산출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학식 10
[0140]
수학식 10에서, fIIR은 IIR(Infinite Impulse Response) 로우 패스 필터, 및 γ는 감마 보상계수이다.[014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0142]
도 10에 따르면 먼저, 부분밝기조정부(210)가 각 부분영역의 대표값(LLD)을 산출한다(S600). 여기서, 산출되는[0143]
대표값(LLD)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부분영역별 RGB 화소값의 크기에 따라, 패널부(500)에 빛을 제공하도록 발광
부(400)를 부분영역별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값이다.
그리고, 부분화소값보상부(310)는 대표값(LLD)에 의해 영상신호에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한 R'G'B' 화소값을 산출[0144]
한다(S620). 즉, 대표값(LLD)에 의해 부분영역별로 밝기가 제어되는 발광부(400)에 의해 여러 가지 아티팩트가
발생하게 되어, 원래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구현되지 못하게 되므로 화질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표
값(LLD)에 의해 부분영역별로 조정되는 발광부(400)의 영향을 추측하여, 입력되는 RGB 화소값을 보상하여 R'G'B'
화소값을 출력한다.
전체밝기조정부(230)는 대표값(LLD)을 R'G'B' 화소값에 따라 조정하여 최종값(Lout)을 산출한다(S640). 좀 더 상[0145]
세히 설명하면, 전체밝기조정부(230)는 R'G'B' 화소값에 따라 화면 전체의 밝기가 조정되도록 대표값(LLD)을 각
부분영역별로 같은 비율로 조정한 최종값(Lout)을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전체화소값보상부(330)는 최종값(Lout)에 따른 화면 전체의 밝기 변화를 보상한 R"G"B" 화소값을[0146]
산출한다(S660).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전체밝기조정부(230)에 의해 화면 전체의 밝기가 동일한 비율로 낮아지도
록 발광부(400)가 제어되는 경우, 어두운 영역에서의 명암비가 감소 되어 화질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R'G'B'
화소값의 밝기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각 부분영역의 대표값이 동일하게 조정된 비율에 따라, R'G'B'
화소값을 보상하여 R"G"B" 화소값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부분영역별로 밝기를 제어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화면 전체의 밝기를 조정할 수[0147]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밝기 조정방법은 본 발명에서 예시한 LCD뿐만 아니라,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다른 디스
플레이장치에 이용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영역별로 발광부의 밝기를 조정하고, 이에 의한 아티팩트를 제거[0148]
하여, 화면의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영상에 따라, 전체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고, 이에 의한 영상의 손실을 보상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0149]
을 줄이고, 효과적으로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0150]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
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000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000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대표값 연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0003]
도면,
등록특허 10-1333680
- 17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발광제어부의 화면 전체 밝기 조정방법을 설명하[0004]
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패널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0005]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패널제어부의 화소값 보상방법을 설명[0006]
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0007]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08]
100 : 영상신호처리부 200 : 발광제어부[0009]
210 : 부분밝기조정부 230 : 전체밝기조정부[0010]
300 : 패널제어부 310 : 부분화소값보상부[0011]
330 : 전체화소값보상부 400 : 발광부[0012]
500 : 패널부[0013]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333680
- 18 -
도면3
등록특허 10-1333680
- 19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33680
- 20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333680
- 21 -
도면8a
도면8b
등록특허 10-1333680
- 22 -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1333680
- 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