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Abutment of a dental implant for a crown)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7
A61C 8/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3년02월07일
20-0303350
2003년01월24일
(21) 출원번호 20-2002-0031030
(22) 출원일자 2002년10월17일
(62) 원출원 특허특2002-0063514
원출원일자 : 2002년10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02년10월17일
(73) 실용신안권자 (주) 코웰메디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565-12
(72) 고안자 김수홍
부산 남구 대연5동 1536-12 대연오양양지맨션 4-502 24/4
(74) 대리인 김성환
심사관 : 이훈구
기술평가청구 : 없음
(54)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요약
본 고안은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
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
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결합설치되고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
트(1)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1)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3)의 하단에 삽입
부(4)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2)
- 1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와, 상기 상부설치대(2)의 삽입부(4)에 삽입설치되며, 외측상부에 상기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
출부(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7)와 밀착경사부(8)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상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설치
대(2)의 삽입부(4)가 삽입되는 삽입공(6a)과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되는 육각홈부(10)
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3
색인어
치과, 임플란트, 크라운,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상부설치대, 하부설치대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버트먼트 2 : 상부설치대 3 : 머리부
3a : 체결홈 4 : 삽입부 5 : 나사부
6 : 하부설치대 6a : 삽입공 7 : 육각돌출부
8 : 지지경사부 9 : 밀착경사부 10 : 육각홈부
11 : 인공치아고정체 12 : 육각머리부 13 : 체결공
14 : 인공치아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
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 2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
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또는 나사형상의 인공치아고정체
(fixture)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일정기간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접합부인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
치아 (crown) 등의 보철물을 고정시키므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법 중에서 하나의 자연치아가 손상된 경우이를 대체하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시술하
는 것을 크라운(crown)방식이라 하며, 서로 인접한 2개이상의 자연치아가 동시에 손상되거나 정상적인 자연치아를 사
이에 두고 2개이상의 자연치아가 동시에 손상된 경우 이를 대체하는 2개이상의 인공치아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된 보철을 시술하는 것을 브리지(bridge)방식이라고 한다.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어버트먼트(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상하부에 삽입공
(22)과 육각홈부(24)가 서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과 육각홈부(24)가 맞닿은 부위에 단턱부(23)가 형
성되어 있는 인공치아지대부(21)와, 상단중앙에 육각렌치홈(26a)이 오목하게 형성된 머리부(26)의 하단에 나사부(2
7)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스크류(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턱뼈에 매
식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12)에 육각홈부(24)가 삽입되도록 인공치아지대부(21)
를 설치한 후, 고정용 스크류(25)를 인공치아지대부(21)의 삽입공(22)를 통해 삽입하여 도시되지 않은 체결공구를 이
용하여 고정용 스크류(25)의 나사부(27)가 인공치아고정체 (11)의 체결공(13)에 체결되도록 하여 인공치아지대부(
21)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인공치아지대부(21)의 상단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인공치아 (14)
가 삽입되어 접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인공치아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저작작용을 하게 되면
인공치아지대부(2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용 스크류(25)의 체결상태가 점차 풀리게 되거나 심한 경우 고정용 스크류
(25)가 파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구조로 된 어버트먼트(1)에 사용되는 고정용 스크류(25)의 나사풀림과
파절에 대한 기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에 의해 설치된 인공치아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저작작용을 하게 되면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공치아 (14)는 인공치아(14)와 상하로 교합하는 다른 치아에 의해 형성된 측방교합력
(F)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측방교합력(F)은 연쇄적으로 인공치아고정체(11)와 인공치아지대부(21)가 접하는 A점을
작용점으로 하고 거리 d를 모멘트팔로 하는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때, 이 모멘트는 인공치아지대부(21)에 삽
입되어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용 스크류(25)의 머리부(26)하단과 인공치아지대부
(21)의 단턱부(23)상면이 접하게 되는 B점을 작용점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고정용 스크류(25)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측방교합력(F)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에 의해 인공치아지대부(21)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용 스크류(25)가 끊임
없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써 고정용 스크류(25)의 체결상태는 점차 느슨해지기 시작하고 고정용 스크류(25)의 체결상
태가 느슨해짐에 따라 인공치아지대부(21)가 유동하게 되므로, 인공치아(14)가 흔들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한
경우 고정용 스크류(25)의 머리부(26)와 나사부 (27)가 맞닿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절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는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체결상태가 풀리거나 파절된 크라운용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재시술하는데에는 임플란트의 초기시술시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 및 비용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
는 실정이었다.
- 3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
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
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인공치아의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에 육각머리부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인
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결합설치되고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가 설치되는 크라운용 임
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부의 하단에 삽
입부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상기 상부설치대
의 삽입부에 삽입설치되며, 외측상부에 상기 인공치아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
경사부와 밀착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상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설치대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과 상기 인공치
아고정체의 육각머리부에 결합되는 육각홈부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조립한 상태 및 그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
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결합설치되고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
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1)는 일
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 (3)의 하단에 삽입부(4)와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
결공(1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2)와, 상기 상부설치대(2)의 삽입부 (4)에
삽입설치되며, 외측상부에는 인공치아(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는 상기 인공
치아(14)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경사부 (7)와 잇몸부위에 밀착되는 밀착경사부(8)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상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설치대(2)의 삽입부(4)가 삽입되는 삽입공(6a)과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
되는 육각홈부(10)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 (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에 대한 조립 및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턱뼈에 매식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12)에 육각홈
부(10)가 삽입되도록 하부설치대(6)를 설치한 후, 하부설치대(6)의 삽입공(6a)을 통하여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
3)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4)와 나사부(5)를 삽입하여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체결하게 된
다.
- 4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이 때, 상기 상부설치대(2)를 적정한 토크량으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에 삽입되는
결합부내측에 머리부(3)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홈(3a)에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전용 체결공구(도시
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견고하게 체결된 상부설치대(2)는 머리부(3)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의 상단에 돌출되므로 인공
치아(14)의 설치시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인공치아(14)의 내측상부는 상부설치대(2)의 머리부(3)에 접착되며, 인공
치아(14)의 내측하부는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의 외주연에 접착되는 동시에 인공치아(14)의 하단부는 하부
설치대(6)의 지지경사부(8)에 접착되므로써, 인공치아(14)와 상부설치대(2)와 하부설치대(6)로 이루어진 어버트먼
트(1)가 하나의 단일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설치대(6)의 상부에 형성된 육각돌출부(7)는 인공치아(14)의 성형시 인공치아(14)의 내측에 상기
육각돌출부(7)와 결합되는 육각홈부를 형성시키므로써, 성형된 인공치아(14)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에 용
이하게 삽입설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6)의 밀착경사부(8)는 임플란트의 시술시 잇몸의 두께에 따라 높이의 보상이 가능하며 절개된
잇몸이 아물어가면서 잇몸이 완전히 밀착되므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14)의 내측에 어버트먼트(1)의 상
부설치대(2)의 머리부(3)와 하부설치대(6)의 육각돌출부(7)가 동시에 접착되어 인공치아고정체(11)와 견고한 결합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저작작용에 의한 측방교합력이 인공치아(14)에 작용하여 어버트먼트(1)에 나사풀
림의 모멘트가 아무리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인공치아 (14)의 내측에 접착된 하부설치대(6)의 육각홈부(10)와 인
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의 결합에 의해 인공치아(14)의 회전이 억제되어 상부설치대(2)하단에 형성된
나사부(5)와 인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과의 체결상태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써, 인공치아(14)
가 접착되는 어버트먼트(1)는 거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는 하나의 인공치아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크라운용 임
플란트의 어버트먼트를 인공치아의 내측상부가 접착되는 머리부의 하단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부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와, 외측상부에 인공치아의 내측하부가 접착되는 육각돌출부에 형성되며 내측하부
에 인공치아고정체의 상단에 돌출형성된 육각머리부에 삽입설치되는 육각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로 구성되도
록 하므로써, 다양한 음식물을 씹는 저작작용으로 인하여 인공치아에 반복적인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항상 안정
된 체결상태를 유지하여 인공치아가 유동되거나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상단에 육각머리부(12)가 돌출형성되며 상단중앙에 체결공(13)이 형성되는 인공치아고정체(11)의 상단에 결합설치
되고 상부외주연에 치과용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인공치아(14)가 설치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1)에
있어서,
- 5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상기 어버트먼트(1)는 일측면에 체결공구가 결합되는 체결홈(3a)이 형성된 머리부(3)의 하단에 삽입부(4)와 상기 인
공치아고정체(11)의 체결공(1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설치대(2)와,
상기 상부설치대(2)의 삽입부(4)에 삽입설치되며, 외측상부에 상기 인공치아 (14)의 내측하부에 접착되는 육각돌출부
(7)가 형성되고 외측하부에 지지경사부(7)와 밀착경사부(8)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상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설치대(2)
의 삽입부(4)가 삽입되는 삽입공(6a)과 상기 인공치아고정체(11)의 육각머리부(12)에 결합되는 육각홈부(10)가 연
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설치대(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도면
도면 1
- 6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도면 2
- 7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도면 3
- 8 -
등록실용신안 20-0303350
도면 4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