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식 차량에 대한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GUIDING LOSS FOR A GUIDED VEHICL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5-0045915
(43) 공개일자 2015년04월2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2D 1/26 (2006.01) B66C 9/08 (2006.01)
B66C 9/16 (2006.01) E01B 25/2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7018082
(22) 출원일자(국제) 2013년04월30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4년06월30일
(86) 국제출원번호 PCT/EP2013/058952
(87) 국제공개번호 WO 2013/189651
국제공개일자 2013년12월27일
(30) 우선권주장
12290202.6 2012년06월20일
유럽특허청(EPO)(EP)
(71) 출원인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프랑스 에프-93200 에스티. 데니스 블러바드 피노
트 9
(72) 발명자
콘솔리 루씨아노
프랑스 에프-75015 파리 뤼 뒤또 70
(74) 대리인
양영준, 안국찬
전체 청구항 수 : 총 15 항
(54) 발명의 명칭 안내식 차량에 대한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안내 레일(3)의 제1 구름 표면(7A) 및 제2 구름 표면(7B)과 각각 맞물리는 2개의 V형으로 장착된 안내
롤러(1, 2), 즉 제1 롤러(1) 및 제2 롤러(2)를 포함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한 안내식 차량에 대한 안내 소실에 대
해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1 구름 표면(7A) 및 제2 구름 표면(7B)은 상기 안내 레일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4
공개특허 10-2015-0045915
- 1 -
(3)의 종방향 중앙 평면(M)의 양측면 상에 위치되고, 롤러들 각각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0)는
안내 레일(3) 상으로 자유롭게 클램핑되고, 보호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 구름 표면(7A)과 제2 구
름 표면(7B) 사이에서, 그의 길이를 따라 상기 안내 레일(3)의 적어도 일 부분 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높이
(h > 0)를 갖는 프로파일 부재(7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부재(72)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72)가 안내 레일
(3)의 상기 부분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안내 부재의 탈선 또는 안내 소실 시에 안내 부재를 안내하기에 적합한
섹션을 갖고, 상기 섹션은 제1 롤러(1)의 플랜지(10)를 상기 제1 롤러(1)의 구름 표면(7A)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
(M)의 측면 상에 그리고 제2 롤러(2)의 플랜지(10)를 상기 제2 롤러(2)의 구름 표면(7B)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
(M)의 측면 상에 보유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보호 장치는 상기 안내 레일(3) 상으로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73)을 포함한다.
공개특허 10-2015-0045915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1, 2)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
하기 위한 장치이며,
각각 제1 풀리(1) 및 제2 풀리(2)는 안내 레일(3)의 제1 주행 표면(7A) 및 제2 주행 표면(7B) 상에 각각 놓이도
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7A)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7B)은 상기 안내 레일(3)의 중앙 종방향 평면(M)
의 양측면 상에 위치되고, 풀리들 각각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0)는 안내 레일(3)을 자유롭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보호 장치는,
-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72)으로서, 상기 제1 주행 표면(7A)과 상기 제2 주행 표면(7B)
사이에서, 그의 길이를 따라 상기 안내 레일(3)의 적어도 일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섹션(72) - 상기 섹션
(72)은 상기 섹션(72)이 안내 레일(3)의 상기 부분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단면을 갖고, 상기 단면은 제1 풀리(1)의 플랜지(10)를 상기 제1 풀리(1)
의 주행 표면(7A)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유지하고 제2 풀리(2)의 플랜지(10)를 상기 제2 풀리
(2)의 주행 표면(7B)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유지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짐 -; 및
- 상기 안내 레일(3)에 상기 섹션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73)
을 포함하는 보호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의 적어도 일 단부에 대해, 상기 섹션(72)의 높이(h)는 길이(X)에 걸쳐, 상기 섹
션(72)의 단부에서의 최소값(h 0)으로부터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는 공칭값(h = h1)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보호 장치.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의 상기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작
은 기부가 상기 안내 레일에 고정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
청구항 4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1, 2)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에 적합한 안내 레일
(3)이며,
각각 제1 풀리(1) 및 제2 풀리(2)는 안내 레일(3)의 제1 주행 표면(7A) 및 제2 주행 표면(7B) 상에 각각 놓이도
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7A)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7B)은 상기 안내 레일(3)의 중앙 종방향 평면(M)
의 양측면 상에 위치되고, 풀리들 각각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0)는 안내 레일을 자유롭게 파
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제1 주행 표면(7A)과 상기 제2 주행 표면(7B) 사이에서, 안내 레일(3) 위에서 종방향으
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72)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은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을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제1 풀리(1)의 플랜지(10)를 상기 제1 풀리(1)의 주행 표면(7A)을 포함
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그리고 제2 풀리(2)의 플랜지(10)를 상기 제2 풀리(2)의 주행 표면(7B)을 포함
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섹션(72)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풀리(1, 2)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10)
공개특허 10-2015-0045915
- 3 -
가 상기 중앙 평면(M)의 양측면 상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섹션(72)의 일 측면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제3 주행
표면(7C) 또는 제4 주행 표면(7D)에 대해 각각 안내 레일(3) 상에 놓이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단부에 대해, 상기 섹션의 높이(h)는 길이
(X)에 걸쳐, 상기 섹션(72)의 단부에서의 최소값(h 0)으로부터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는 공칭값(h = h1)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은 상기 안내 레일(3) 상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기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고, 2
개의 측면은 상기 중앙 평면(M)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풀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가 안내 레일
(3) 및 상부 측면 상에 놓이게 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작은 기부가 상기 안내 레일
(3)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은 상기 안내 레일(3)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섹션(72)은 볼트 시스템에 의해 안내 레일(3)에 고정되기에 적합하
게 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11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연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레일(3).
청구항 12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1, 2)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
하기 위한 방법이며,
각각 제1 풀리(1) 및 제2 풀리(2)는 안내 레일(3)의 제1 주행 표면(7A) 및 제2 주행 표면(7B) 상에 각각 놓이도
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7A)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7B)은 상기 안내 레일(3)의 중앙 종방향 평면(M)
의 양측면 상에 위치되고, 풀리(1, 2)들 각각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0)는 안내 레일(3)을 자
유롭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보호 방법은,
상기 제1 주행 표면(7A)과 상기 제2 주행 표면(7B) 사이에서, 상기 안내 레일(3)의 일 부분 위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72)을 상기 안내 레일(3)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섹션(72)은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을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제1 풀리
(1)의 플랜지(10)를 상기 제1 풀리(1)의 주행 표면(7A)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그리고 제2 풀리
(2)의 플랜지(10)를 상기 제2 풀리(2)의 주행 표면(7B)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유지할 수 있는,
보호 방법.
청구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은 용접(73)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3)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공개특허 10-2015-0045915
- 4 -
방법.
청구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은 볼트 시스템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3)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방법.
청구항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72)이 고정되는 상기 안내 레일(3)의 부분은 안내 레일
의 교차 구역에 완전히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제4항, 또는 제12항의 전제부에 따른, 안내식 차량의 탈선 및/또는 안내의 실패[0001]
중에 안내식 차량의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안내식 차량"은 버스, 트롤리 버스, 트램, 지하철, 열차 또는 열차 유닛 등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을 지칭할[0002]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안전 사항이 매우 중요하고 안내가 특히 트랙 상에 위치되며 "안내 레일"로 일반적으
로 불리는 단일 레일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식 크레인과 같은 하중을 운반하는 수단을 지칭한다. 안내 레일은
상기 안내 레일 상에서 대체로 지지되며 안내식 차량이 이동할 때 안내 레일의 궤적을 따르는 안내 유닛을 위한
안내구로서 작용한다. 안내 유닛은, 예를 들어, 안내 시스템이 안내 레일에 의해 형성된 궤적을 따라 차량의
조향 축을 유도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상기 차량은 그의 트랙을 떠나지 않으며, 상기 축은 예를 들어 보기 휠
을 갖춘다.
안내 유닛은 V형으로 장착되며, 안내 레일을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플랜지를 갖춘, 안내 풀리로도 불리는[0003]
한 쌍의 안내 휠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그러한 안내 유닛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228,803 B2호, 미국
특허 제6,029,579 A1호, 미국 특허 제6,363,860 B1호의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안내 유닛에 의
해 안내되는 차량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다음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안내 유닛은 안내
레일(3)과 접촉하는 한 쌍의 풀리(1, 2)에 의해 안내 레일(3)을 따르고, 차량의 조향 축 상에 부여되는 방향을
안내 시스템에 제공한다. 종래의 안내 레일(3)은 특히 지면(5)에 고정된 기부 플레이트(4) 및 풀리(1, 2)가 트
레드(9)를 거쳐 지지되는 헤드(7)를 지지하는 코어(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내 풀리의 동일한 쌍 내의 각
각의 풀리(1, 2)는 주행 표면(8)으로 불리는 헤드(7)의 표면과 접촉하며, 헤드(7)의 상부 부분의 양측면 상에
대칭으로 분포되는, 그의 트레드(9)를 갖는다. 차량이 이동할 때, 풀리(1, 2)는 헤드(7)와 접촉하고, 그들 각
각의 플랜지(10)는 공칭 상태에서 접촉이 없이, 헤드를 둘러싸고, 그 아래의 코어(6)에 더 가까워진다. 헤드
(7)를 둘러싸는 2개의 플랜지(10)의 하단부(201, 101)들 사이의 거리가 헤드(7)의 폭(C) 미만이므로, 헤드(7)의
상기 풀리(1, 2)의 파지로부터의 추출 또는 심지어 트레드(9)와 플랜지(10) 사이에 포함된 구역으로부터의 추출
은 풀리들이 고정된 각도(11), 즉 풀리의 쌍의 각각의 풀리(1, 2)의 회전 축에 의해 형성되며 V 형상의 풀리의
쌍의 대칭 평면에 의해 절단된 섹터에 대응하는 각도가 증가할 때에만 그리고/또는 플랜지(10) 및/또는 헤드
(7)의 외측 모서리가 변형될 때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올바른 배향은 안내 시스템의 안내 유닛의 풀리의 쌍을 차량의 조향 축과 결합시킴으로써 얻어[0004]
진다. 풀리가 안내 레일을 바르게 파지하고 있으면, 차량은 그가 이동할 때 레일에 의해 만들어지는 궤적을 따
른다. 다른 한편으로, 풀리가 그의 정상 작동 위치를 떠나면, 예를 들어, 안내 레일의 헤드가 트레드와 플랜지
사이에 포함된 구역을 떠나면, 차량은 레일에 의해 초기에 확립된 궤적을 떠날 위험이 있다. 사실, 풀리가 안
내 레일에 의해 부여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구속되지 않으면, 풀리는 레일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탈하여,
차량을 계획된 궤적으로부터 편향시킬 수 있다. 해당 시나리오는 안내의 소실 또는 단순히 차량의 안내의 실패
로서 정의된다. 바꾸어 말하면, 풀리의 올바른 위치 설정이 차량의 올바른 방향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
다.
가능하지 않을 것 같지만, 풀리의 파지로부터의 헤드의 추출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상방으로 향하는 수[0005]
직 당김 작용이 풀리에 인가되거나 풀리를 위한 고정 기부 상에 인가되어, 부품(플랜지 및/또는 헤드 및/또는
공개특허 10-2015-0045915
- 5 -
풀리 축)의 변형이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가 헤드의 폭을 초과함을 의미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풀리는
안내 레일을 더 이상 파지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 측방에 또는 도 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되는 도면 부호는 도 2 및 도 3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안내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면, 차량은 안내 유닛이 안내 레일을 더 이상 둘러싸지 않더라도 여전히 안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안내 풀리가 안내 레일 측방에 위치되면, 보기 휠의 편향이 안내식 차량이 그의 초기에
계획된 궤적을 떠나게 할 수 있고, 이는 차량 및 차량이 속하는 네트워크의 작동에 대해 그리고 탑승한 승객 및
승무원의 안전에 대해 재앙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안내식 차량을 위한 현재의 안내 시스템은 탈선 사건 시에 상기 안내식 차량의 궤적의 유지를 보장하는[0006]
것을 가능케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식 차량이 따르는 모든 트랙 배치에 걸쳐, 특히 트랙 교차 구
역 내에서 그리고 표준 트랙 상에서, 상기 안내식 차량의 안내를 유지할 수 있는, 탈선 중에 안내식 차량의 안
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간단하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유리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안내의 소실 및/또는 탈선 사건 시에 안내식 차량의 안내 시스템이 구동 로드
에 의해 그의 편향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법 및 장치가 특허청구범위 제1항, 제4항, 및 제12항의 내용에 의해 제안된다.[0007]
종속 청구항들의 세트가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을 제시한다.[0008]
본 발명은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의 소실에 대해[0009]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각각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상기 안내식 차량을 안내하도록 의도된 안내
레일의 제1 주행 표면 및 제2 주행 표면 상에 각각 놓이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은 상기 안내 레일의 중앙 종방향 평면의 양측면 상에, 특히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 상에 위치되고, 풀리들
각각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안내 레일, 특히 그의 헤드를 자유롭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보호 장치는,[0010]
-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으로서, 상기 제1 주행 표면과 상기 제2 주행 표면 사이에서,[0011]
그의 길이를 따라 상기 안내 레일의 적어도 일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섹션 - 상기 섹션은 상기 섹션이 안
내 레일의 상기 부분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단면, 특히 기계적 특징을 갖고, 상기 단면은, 특히 상기 풀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가 상
기 중앙 평면의 양측면 상에, 즉 상기 섹션의 양측면 상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섹션이 안내 레일의 상기 부분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섹션의 하나의 측면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제3 주행 표면 또는 제4 주행 표면에 대해 각각
안내 레일 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상기 안내식 차량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제1 풀리의 플랜지를 상기
제1 풀리의 주행 표면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의 측면 상에 유지하고 제2 풀리의 플랜지를 상기 제2 풀리의 주행
표면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의 측면 상에 유지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짐 -; 및
- 예를 들어, 볼트 시스템에 의해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 상에, 특히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 상에[0012]
상기 섹션을 고정시키는 수단
을 포함한다.[0013]
본 발명은 또한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에 적합한[0014]
안내 레일에 관한 것이고, 각각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상기 안내 레일의 제1 주행 표면 및 제2 주행 표면 상
에 각각 놓이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은 상기 안내 레일의 중앙 종방향 평면
의 양측면 상에, 특히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 상에 위치되고, 풀리들 각각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안내 레일, 특히 그의 헤드를 자유롭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제1 주행 표면과 상
기 제2 주행 표면 사이에서, 특히 그의 헤드의 상부 면 상에서, 상기 안내 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안
내 레일 위에서, 특히 그의 헤드 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
은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을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그의 단면은, 특히 상기
안내식 차량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제1 풀리의 플랜지가 상기 제1 풀리의 주행 표면을 포함하는 중앙
공개특허 10-2015-0045915
- 6 -
평면의 측면 상에 보유되고 제2 풀리의 플랜지가 상기 제2 풀리의 주행 표면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의 측면 상에
보유되게 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섹션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풀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가 상기 중앙 평면의 양측면 상에, 즉 상기 섹션의 양측면 상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섹션의 하나의 측면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제3 주행 표면 또는 제4 주행 표면에 대해 각각 안내
레일 상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풀리의 플랜지가 상기 안내식 차량
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레일과 접촉하도록 상기 섹션을 크기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또한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 안내 풀리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0015]
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각각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상기 안내식 차량을 안내하
기 위해 사용되는 안내 레일의 제1 주행 표면 및 제2 주행 표면 상에 각각 놓이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은 상기 안내 레일의 중앙 종방향 평면의 양측면 상에, 특히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
상에 위치되고, 풀리들 각각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안내 레일, 특히 그의 헤드를 자유롭게 파지
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보호 방법은 상기 제1 주행 표면과 상기 제2 주행 표면 사이에서, 특히 상기 헤드
의 상부 상에서, 상기 안내 레일의 일 부분 위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를 갖는 섹션을 상기 안내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섹션은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
을 안내하기에 적합하고, 특히 상기 풀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가 상기 중앙 평면의 양측면 상에,
즉 상기 섹션의 양측면 상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섹션의 하나의 측면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제3 주행 표면 또는
제4 주행 표면에 대해 각각 안내 레일 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제1 풀리의 플랜지가 상기 제1 풀리의 주행 표면
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의 측면 상에 보유되고 제2 풀리의 플랜지가 상기 제2 풀리의 주행 표면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의 측면 상에 보유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장치, 안내 레일, 및 안내의 소실에 대해 보호[0016]
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안내식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 또는 상기 섹션을 포함하는 안내 레일의 부분을 따
라, 안내 레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궤적을, 상기 섹션에 의해, 안내 유닛의 플랜지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부여
함으로써, 안내의 소실 또는 탈선 중에 상기 안내식 차량의 궤적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섹션은
특히 안내 레일의 길이의 전부에 걸쳐, 또는 예를 들어 레일의 교차 구역 내에 위치된 안내 레일의 부분과 같은
안내 레일의 소정의 종방향 부분에만 걸쳐, 안내 레일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대해, 상기 섹션의 높이(h)는 길이(X)에 걸쳐, 상기 섹션의[0017]
단부에서의 최소값(h 0)으로부터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는 공칭값(h = h1)으로 변하여, 길이(L)를 갖는 섹션
에 대해, 그의 높이는 그의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길이(X < L)에 걸쳐 0으로부터 h1까지 증가하고, 그 다
음 예를 들어 일정하게 유지(h = h1)되거나 X로부터 L - X까지 가변적이고, L - X로부터 L까지 높이(h = h1)로
부터 높이(h 0)로 진행하여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섹션의 높이(h1)는 전형적으로 15 내지 30mm 정도이
고, 길이(X)는 50 내지 100cm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섹션은 상기 안내 레일 상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기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갖고, 2개의 측면[0018]
들이 상기 중앙 평면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풀리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가 안내 레일 및 상부 측
면 상에 놓이게 하도록 의도된다. 특히, 상기 섹션의 상기 단면은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이등변 삼
각형의 작은 기부는 상기 안내 레일에 고정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비평행 측면들은 바람직하게
는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그러한 단면은 안내 레일 상에 놓인
플랜지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섹션은 특히 상기 섹션에 의한 안내 유닛의 안내 중에 상기 섹션에 대해 플랜지에 의해 생성되는 응력을[0019]
기계적으로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섹션은 강철로 만들어지거나, 상기 안내 레일과 동일
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섹션은 상기 안내 레일에 용접되거나, 볼트 시스템에 의해 안내 레
일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고정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션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은 특히
압연에 의해 직접 제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시적인 실시예 및 적용예가 도면에 의해 제공된다.[0020]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안내 레일 상에 공칭 모드로 바르게 복원된 안내 풀리의 쌍을 도시한다.[0021]
도 2는 탈선 중의 안내 레일 측방의 안내 풀리의 쌍의 위치 설정을 도시한다.
공개특허 10-2015-0045915
- 7 -
도 3은 탈선 중의 안내 레일의 상부 상의 안내 풀리의 쌍의 위치 설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의 예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의 예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6은 트랙의 표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의 위치 설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트랙의 표면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의 위치 설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섹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풀리(1, 2)의 쌍의 작동의 공칭 모드를 나타내는 종래의 안내 레일(3) 상의 풀리(1, 2)[0022]
의 쌍의 올바른 복원, 상기 종래의 안내 레일(3) 측방의 풀리(1, 2)의 쌍의 탈선의 경우, 및 안내 레일(3) 상부
상의 풀리(1, 2)의 쌍의 탈선의 경우를 제시하고, 각각의 풀리는 안내 유닛의 고정 기부(12) 상에 장착된다.
안내 레일(3) 측방의 풀리(1, 2)의 쌍의 탈선은 안내식 차량에 대한 궤적의 소실을 일으키기 쉬운 안내 유닛의
편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7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를 갖[0023]
춤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안내 레일(3)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취지로,
도 1 내지 도 3의 안내 레일(3)의 헤드(7)는 특히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기 헤드(3)의 상부 면(71) 상
에 고정될 수 있는 섹션(72)을 갖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3)의 하나의 예를 제시한다. 이러한 안내 레일(3)은 V형으로 장착된 한 쌍의[0024]
안내 풀리(1, 2)를 포함하는 안내 유닛을 갖춘 안내식 차량의 안내에 적합하고, 각각 제1 풀리(1) 및 제2 풀리
(2)는 상기 안내 레일의 제1 주행 표면(7A) 및 제2 주행 표면(7B) 상에 각각 놓이도록 의도되고, 상기 제1 주행
표면(7A) 및 상기 제2 주행 표면(7B)은 상기 안내 레일(3)의 중앙 종방향 평면(M)의 양측면 상에, 특히 상기 안
내 레일(3)의 헤드(7) 상에 위치되고, 풀리(1, 2)들 각각은 플랜지(10)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10)는 풀리(1,
2)가 공칭 모드로 위치될 때, 즉 점선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올바른 복원 모드에서, 안내 레일(3), 특히
그의 헤드(7)를 자유롭게 파지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상기 안내 레일(3)은 그가 상기 제1 주행 표면(7A)과 상
기 제2 주행 표면(7B) 사이에서, 특히 그의 헤드(7)의 상부 면 상에서, 적어도 상기 안내 레일(3)의 종방향 부
분 또는 일부에 걸쳐, 상기 안내 레일(3) 위에서, 특히 그의 헤드(7) 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높이(h > 0)
를 구비한 섹션(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섹션(72)은 특히 실선의 풀리(1, 2)의 위치에 의해
제시된 상기 안내 유닛의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안내 유닛의 안내에 적합하고, 그의 단면은, 예를 들어,
상기 풀리(1, 2)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플랜지(10)가 상기 중앙 평면(M)의 양측면 상에, 즉 상기 섹션
(72)의 양측면 상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섹션(72)의 하나의 측면에 의해 각각 한정되는 제3 주행 표면(7C) 또는
제4 주행 표면(7D)에 대해 각각 안내 레일(3) 상에 놓이게 함으로써, 제1 풀리(1)의 플랜지(10)가 상기 제1 풀
리(1)의 주행 표면(7A)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보유되고 제2 풀리(2)의 플랜지(10)가 상기 제2
풀리(2)의 주행 표면(7B)을 포함하는 중앙 평면(M)의 측면 상에 보유되게 할 수 있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섹션(72)은 용접(73)에 의해 상기 안내 레일(3)의 상기 헤드(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의 측면도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3)은 그의 헤드의 상부 부[0025]
분 상에서, 상기 섹션(72)을 포함한다. 섹션은 특히 길이(L)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섹션의 높이(h)는 바람직
하게는 상기 섹션의 종방향 단부들 사이의 거리(L - (X1 X2))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h = h1).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섹션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 대해, 상기 섹션의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일 측면 상에서 길이
(X = X1)에 걸쳐, 최소값(h 0)으로부터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는 공칭값(h = h1)으로 그리고 다른 측면 상에
서 길이(X = X2)에 걸쳐, 최소값(h 0)으로부터 상기 최소값을 초과하는 공칭값(h = h1)으로 변할 수
있어서, 길이(L)를 갖는 섹션에 대해, 그의 높이는 길이(X1)에 걸쳐 0으로부터 h1으로 증가한 다음, X1으로부터
L - X2까지 일정하게 유지되고, 즉 h = h1, L - X2로부터 L까지 h = h1으로부터 h 0으로 감소한다.
도 6 및 도 7은 안내식 차량의 주행 표면의 수준(r)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레일(3)의 위치 설정에 대한 2[0026]
개의 바람직한 대안예를 제시한다. 도 6에 제시된 제1 대안예에 따르면, 상기 안내 레일(3)의 헤드(7)의 상부
부분은 안내식 차량의 주행 표면과 동일한 수준(r)에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섹션(72)은 상기 주행 표면 위에서
그의 높이(h)만큼 돌출하고, 도 7에 제시된 제2 대안예에 따르면, 상기 섹션(72)의 상부는 상기 주행 표면의 수
공개특허 10-2015-0045915
- 8 -
준(r)에 있다. 2개의 대안예 각각에서, 안내 레일(3)의 기부 플레이트는 안내 레일(3)을 둘러싸는 풀리(1, 2)
의 부분과 접촉하지 않고서 둘러쌀 수 있는 받침대(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안내 레일의
헤드(7) 상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섹션(72)의 단면의 바람직한 예를 제시한다. 도 8a는,
예를 들어, 탈선 또는 안내의 소실 중에, 플랜지가 상기 안내 레일의 헤드(7)와 접촉하지 않도록, 단면이 상기
헤드(7)의 형상 및 치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및 치수인 섹션(72)을 도시한다. 도 8b는, 예를 들어, 기부
가 안내 레일의 상기 헤드(7)의 상부 부분 상에 고정되는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인 단면을 구비한 섹션(72)을 제
시한다. 도 8c는 단면이 특히 직사각형 유사 형상인 섹션(7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 안내 레일, 및 방법은 다음의 장점을 제시한다:[0027]
특히 낮은 개발, 제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의미하는, 고장을 일으키기 쉬운 구성요소들의 감소된 개수;[0028]
안내식 차량과 관련된 외부 구속 환경에 대한 저항;[0029]
표준 트랙 상이든지 또는 교차 구역 내든지 간에, 안내 유닛의 탈선 사건 시에 궤적을 확보하고 유지함;[0030]
다른 보호 시스템 또는 방법과 간섭하지 않고, 이는 상기 다른 보호 시스템 또는 방법의 본 발명에서의 중복 사[0031]
용을 용이하게 함;
안전 모니터링을 요구하지 않음.[0032]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5-0045915
- 9 -
도면2
도면3
공개특허 10-2015-0045915
- 10 -
도면4
도면5
도면6
도면7
공개특허 10-2015-0045915
- 11 -
도면8a
도면8b
도면8c
공개특허 10-2015-0045915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