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전기식 동력공구(ELECTRIC POWER TOOL)

좌절하지말자 2018. 3. 2. 12:0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4-0029472
(43) 공개일자 2014년03월1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25B 21/02 (2006.01) B25F 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7031740
(22) 출원일자(국제) 2012년06월14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85) 번역문제출일자 2013년11월29일
(86) 국제출원번호 PCT/EP2012/061317
(87) 국제공개번호 WO 2013/000725
국제공개일자 2013년01월03일
(30) 우선권주장
1150616-9 2011년06월30일 스웨덴(SE)
(71) 출원인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스웨덴, 스톡홀름 에스-105 23
(72) 발명자
크비베르그, 에릭 마르쿠스 페더
스웨덴, 스톡홀름 에스-117 61, 릴제홀름스베겐
12
넬슨, 안더스 우르반
스웨덴, 올브스죠 에스-125 51, 룅스죠베겐 110
(74) 대리인
강명구
전체 청구항 수 : 총 13 항
(54) 발명의 명칭 전기식 동력공구
(57) 요 약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가, 전방 단부(10a)와 후방 단부(10b)를 가진 하우징(10), 전류자(13)에 대해 회전하
도록 배열된 로터(14)를 가진 전기식 토크 전달 모터(12),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단부(10a)에 배열된 출력축
(16) 및, 상기 모터(12)를 상기 출력축(16)에 간헐적으로 연결시키는 펄스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유닛
(15)은 상기 모터 로터(14)에 연결된 관성 구동 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내부에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되고 일체구조를 가진 하나의 회전가능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부재(18)는 유
극없이 서로 단단히 조립된다.
대 표 도 - 도1
공개특허 10-2014-002947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전방 단부(10a)와 후방 단부(10b)를 가진 하우징(10), 정류자(13)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된 로터(14)를 가진
전기식 토크 전달 모터(12),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단부(10a)에 배열된 출력축(16) 및, 상기 모터(12)를 상기
출력축(16)에 간헐적으로 연결시키는 펄스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유닛(15)은 상기 모터 로터(14)에 연
결된 관성 구동 부재(18)를 포함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내부에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되고 일체구조를 가진 하나의 회전가능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부재(18)는 유극없이 서로 단단히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
격 공구.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구조의 회전가능한 구조체는 단지 두 개의 베어링(23,24,25)들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4)는 스플라인 연결부(31)에 의해 관성 구동 부재(18)에 고정되고,
상기 스플라인 연결부는 나사 부착된 블록(34)에 의해 제위치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4)는 스플라인 구조의 전방단부(32)를 가지고, 상기 전방단부는 상기 스플라인
연결부(3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스플라인 후방 단부(39)외축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
(14)의 전방 단부(32)는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외측부에서 칼라(33)를 지지하고, 상기 나사 부착 블록(3
4)은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를 서로 지지(mutually abutted)되는 위치에 구속하도록 배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2)의 후방에서 상기 로터(14)에 후방 베어링(25)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베어링(25)은 상기 정류자(13)와 동심축을 이루며 정렬되고 중실 후방 단부 부분(26)의 전방
에 위치하고, 상기 중실 후방 단부 부분(26)은 후방 플레이트(28), 상기 후방 플레이트(28)로부터 전방으로 연
장되는 블록링(29) 및 상기 정류자(13)속으로 삽입되고 고정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후방 베어링(25)은 상기 블
록링(29)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베어링(25)은 상기 블록 링(29)내부에 배열되고, S 자형상의 베어링 연결부분(3
0)은 상기 축방향 베어링(25)내부에서 한쪽 단부를 가지고 상기 로터(14)에 부착되는 반대쪽 단부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4)는, 수 연결부분(20)과 암 연결부분(22)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
기 위해 수 연결부분(20)과 암 연결부분사이의 연결부에 의해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수 및 암 연결부분(20,22)사이에서 축방향 상호 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공개특허 10-2014-0029472
- 2 -
수 및 암 연결부분(20,22)들을 고정하기 위해 중앙 베어링(23)은 상기 연결부분(20,22)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
우징(10)에 대해 고정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및 암 연결부분(20,22)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축방향 고정 하중을 형성하기 위해 상
기 수 및 암 연결부분(20,22)사이에서 중앙에 나사(1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및 암 연결부분(20,22)들은, 상기 수 연결부분(20)의 외측부를 상기
암 연결부분(22)의 내측부에 연결시키는 스플라인 연결부(2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14)와 상기 관성구동 부재(18)는 단일 금속 블록으로부터 유닛으로
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12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과 출력축(16)사이에 전방 베어링(24)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청구항 1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크 전달 공구의 회전 부분들의 회전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졸버 자석(37)이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주변부 주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나사기계(screw machine)와 같은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electric torque delivery impulse[0001]
tool)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된 전기식 모터와 토크 충격 발생 펄스 유닛(pulse unit)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종래기술을 따르는 토크 전달 충격 공구에 있어서, 모터와 토크 충격 발생 펄스유닛은 개별 베어링들에 의해 장[0002]
착되고, 상기 모터와 펄스 유닛은 예를 들어, 육각형 또는 사각형 암 및 수(female and male) 연결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분들은 연결부분들사이에 유극(play) 또는 허용오차(allowance)가 필수적으로 존재
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서로 연결된 부분들사이의 허용오차는 상기 부분들의 조립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와 관련하여 조립에 필수적이다.
종래기술의 장치가 가지는 문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상기 육각형 또는 사각형 암 및 수 연결부분들사이에서 간[0003]
격이 증가한다. 상기 간격은, 한편으로 모터의 공동 작동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펄스 유닛의 부분적인 반대 작
용에 의해 증가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연결상태는 서서히 악화되어, 연결부분은 얼마 안되 일시에 교체되어
야 한다.
또한, 상기 형태의 연결은 상당한 백래쉬(backlash)와 탄성(elasticity)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내에서[0004]
공개특허 10-2014-0029472
- 3 -
발생되는 토크 펄스는 불완전하게 전달되고, 그 결과 모터부분내에 저장되는 에너지로부터 토크의 제공
(contribution)은 최적화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모터와 펄스 유닛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상기 모터와 펄스 유닛사이에 연결장치를 새롭게 개선[0005]
시킬 필요가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토크 전달 충격 공구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크고 효율이 큰 전기식 토크 전달[0006]
충격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공구의 효율과 수명이 증가되고 중량이 감소되도록
모터와 펄스유닛(pulse unit)사이에 개선된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가진 하우징, 정류자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된 로터를 가진 전기식 토크[0007]
전달 모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배열된 출력축 및, 상기 모터를 상기 출력축에 간헐적으로 연결시키는
펄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펄스유닛은 상기 모터 로터에 연결된 관성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내부에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되고 일체구조를 가진 하나의 회전가능한 구
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부재는 유극없이 서로 단단히 조립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공구에 의하면, 상기 공구의 상호연결된 부분들사이에서 운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되어 사[0008]
실상 피로 또는 반복적인 행정(stroke)에 의한 마모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공구의 구성은 종래기술의 장치에 비해 더욱 콤팩트해진다. 이것은 상기 공구가 더욱 작아지고 상기 공구[0009]
는 모터와 펄스 유닛에 의해 발생된 하중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전체적으로 사용자는 공구에 대해 더욱
만족스런 조종(manoevering)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종래기술에서,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는 전형적으로 세 개이상의 베어링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해[0010]
개별적으로 저널 연결된다. 상기 구조체내에서 저널 베어링들이 제조공차를 가지고 서로 다른 축방향 위치에 배
열되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은 절대로 동심축 구조를 가질 수없다. 외부 구조체를 구성하는 하우징 부분들의 런
아웃(run- outs) 및 오정렬(misalignment)은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사이에 회전(anngularity)을 야기한다. 상
기 회전은 다음에, 종래기술에 따라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를 연결하는 토크 전달 육각 조인트의 효과적인
강성(stiffness)을 감소시켜서, 상당한 탄성(elasticity)이 상기 시스템속으로 원하는 강성(rigidity)을 감소시
키며 형성된다.
상기 모터 베어링이 상기 축 외부에 조립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작은 반경방향 치수를 상기 육각 조인[0011]
트가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상기 탄성이 증가된다.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들은 한번에 지지 구조체속에 조
립되기 때문에, 상기 육각 조인트는 조립 및 분해작업시 부분들이 서로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백래쉬(backlash)를 가져야 한다. 상기 육각 조인트가 필요한 제조공차를 가지고 경화(hardening) 과정동안 치
수 변형을 허용하면, 회전 백래쉬(angular backlash)는 전형적인 크기의 초기 값을 가진다.
작업과정동안 상기 육각 조인트를 통해 앞뒤로 전달되는 반복적인 토크 펄스(torque pulse)는, 백래쉬가 시간경[0012]
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가짐에 따라 마모와 피로에 의해 조인트를 점차로 악화시킨다. 이것은 추가로 효과
공개특허 10-2014-0029472
- 4 -
적인 강성을 감소시킨다. 종종 파편 또는 파괴된 축과 같은 다른 고장 모드들이 발생하여 종래기술의 시스템이
가지는 수명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한편으로,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가 상기 하우징내부에서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되고 일[0013]
체구조를 가진 회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간격 또는 유극없이 서로 단단히 조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
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한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의 운동은 종래기술과 반대로, 일정(uniform)하며,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는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을 따르는 공구가 가지는 장점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비해 더 높은 비 토크(specific torque)를 가진다.[0014]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가 일체구조를 가진 회전 구조체이기 때문에, 한 개이상의
저널 베어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내부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고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킨다. 낮은
고유 마찰을 가진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유 마찰을 가진 시스템보다 작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마찰은
가능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과 장점들이 하기 설명과 청구범위에 제공된다. [0015]
도면의 간단한 설명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한다. [0016]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구의 일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공구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하우징(10)과 핸들(11)을 포함한다. 상기[0017]
핸들(11)은, 공구의 동력을 제어하기 위해 트리거(trigger) 형태를 가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
(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11)은 배터리 또는 전원망(net)에 대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공구는 정류자(13)와 로터(14)를 포함한 전기 모터(12) 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켓에 연결
되기 위한 출력축(16)을 가진 토크 충격 발생 펄스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충격 발생 펄스 유닛(15)의 기능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0018]
상기 펄스 유닛의 기능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국제 특허 출원 제 WO 91/14541 호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제 1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12)와 펄스 유닛(15)이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본 발명의[0019]
장점에 의하면, 상기 모터 로터(14)와 펄스 유닛(15)이 하나의 단일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근접하게 조립되어 서
로 연결된 부분들사이에 유극 또는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다른 방식으로 구해질 수 있으며,
두 개의 가능한 실시예들이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정류자(13)는 상기 로터(14)내부에 배[0020]
열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정류자(13)는 종래기술의 전기권선(17)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14)는 상기 로터(14)
의 내부에 배열된 영구자석(3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따르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는 정류자의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배열된다.
공개특허 10-2014-0029472
- 5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14)는 암 및 수 연결부분(22,20)에 의해 각각 상기 펄스 유닛[0021]
(15)의 원통형 관성 구동 부재(18)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 연결부분(20)과 암 연결부분(22)의 결합
은 암 연결부분(22)의 내부와 수 연결부분(20)의 외부사이에서 스플라인 연결부(splined coupling)(21)으로 구
성된다. 본 출원의 배경기술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스플라인 연결부(21)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전기식 토크
전달 충격 공구내에서 펄스 유닛과 모터사이에 단일 연결부(sole connection)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나사(19)가 상기 로터(14)내부를 통해 중앙에 배열되고 수 연결부(20)속으로 배열된다. 상[0022]
기 배열은 고정 하중을 발생시켜서, 상기 원통형 관성 구동 부재(18)와 로터(14)가 서로 고정상태로 강하게 조
립되어 축방향 또는 회전(angular) 방향 또는 반경방향의 상호 운동이 이들사이에 허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나사가 상기 수 연결부(20)로부터 너트에 의해 수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는 암 연결부속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나사 부착물에 의해 상기 로터와 관성 구동 부재는, 상기 하우징내부에서 단일 유닛으로서 장착되고 일체[0023]
구조를 가진 회전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된다. 즉,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에 의해 형성되
는 유닛은 조인트 베어링(joint bearing)들위에 장착되고 그 결과 단지 총 두 개의 베어링들이 상기 유닛을 위
해 필요하다.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안정되도록, 예를 들어 볼 베어링과 같은 중앙[0024]
베어링(23)은 암 연결부(22)의 외측부에 고정된다. 상기 중앙 베어링(23)의 외측부는 지지링(36)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부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 베어링(23)에 의해,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
(18)는 서로에 대해 안정되고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안정된다.
상기 중앙 베어링(23)이외에, 연결된 모터와 펄스 유닛을 안정화하기 위한 단지 한 개의 추가 베어링이 하우징[0025]
내부에 필요하다. 상기 추가 베어링은 예를 들어, 로터에서 상기 하우징(10)의 후방 단부(10B)에 배열되거나 상
기 관성 구동 부재(18)상에서 하우징의 전방 단부(10a)에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베어링(24), 볼베어링이 상기 출력축(16)에 배열된다. 상기 전방 베어링(24)은 종래기[0026]
술에 따라 배열되어, 전방 베어링은 상기 출력축(16)을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안정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방
베어링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를 축방향으로 안정화시켜서,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와 출력축(16)사이에
축방향 운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사이의 상호연결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0027]
다. 상기 실시예에서, 로터(14)는 또한 정류자(13)의 외측부에 배열된다.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은 베어링들의
위치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축방향 베어링과 같은 후방 베어링(25)은 모터(12)의 후방에서 상기 정
류자(13)와 동심축 배열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에 배열된다. 상기 후방 베어링(25)은, 상기 정류자
(13)내부로 삽입되고 정류자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는 중앙 막대(central bar)(27)를 포함한 중실 후방 단부부
분(26)내에 배열된다. 상기 중실 후방 단부부분(26)은, 후방 플레이트(28)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28)로부터 전
방으로 연장되는 블록 링(block ring)(29)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후방 베어링(25)은, 상기 중실 후방 단부부분(26)의 블록 링(29)내부에 배열된다. S 자형상을 가진 베어링[0028]
연결부분(30)은 상기 후방 베어링(25)내부에 한쪽 단부를 가지고 상기 로터(14)의 내측부에 부착되고 마주보는
단부를 가진다. 상기 위치에 의해, 후방 베어링(25)은 상기 하우징(10)과 정류자(13)에 대해 상기 로터(14)를
안정화시킨다. 상기 이중 안정화 효과는, 상기 정류자(13)와 상기 로터(14)에 대해 중실구조로 연결(solidly
공개특허 10-2014-0029472
- 6 -
connect)되는 중실 후방 단부 부분(2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로터(14)에 대한 연결은 물론, 후방 베어링(25)
과 베어링 연결 부분(3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 대해 제 2 실시예가 가지는 또 다른 차이점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와 로터(14)사이에 형성된[0029]
연결에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14)는 스플라인 연결부(splined coupling(31)에 의해 원통형 관성 구
동 부재(18)에 조립된다. 스플라인 연결부(31)이외에, 상기 로터(14)의 전방단부(32)는 상기 관성 구동 부재
(18)의 후방 주변부(39)상에서 칼라(33)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에 의해 상기 로터(14)는 상기 관성 구동 부재
(18)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관성 구동 부재는 로터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
다.
축방향을 따라 반대방향, 즉 분리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실 플레이트 형태의 블록[0030]
(34)이 제공된다. 상기 블록(34)은, 상기 로터(14)의 스플라인 연결부(34)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스플라
인 연결부(39)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블록(34)은 적어도 세 개의 나사(38)들에 의해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중실부분(solid portion)에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로터(14)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는 축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매우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로터(14)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연결부
주위에 배열된 중앙 베어링이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배열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2 실시예에서, 전방 베어링(24)이 상기 출력축(16)상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상기[0031]
전방 베어링(24)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상기 출력축(16)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방 베어링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를 축방향으로 안정화시켜서,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와 출력축(16)사이에서 축방향 운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토크 전달 공구를 구성하는 회전 부분들의 회전운동을 감지하기 위한 리졸버[0032]
자석(resolver magnet)(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부분들의 지연 크기
(retardation magnitude)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문헌 제 EP 1
379 361 B1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리졸버 자석(37)을 최적상태로 위치설정하는 것은 제시된 실시예들에서 동일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제[0033]
1 실시예에서, 상기 리졸버 자석(37)은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후방단부 주위에 위치하고 중앙 베어링(23)
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리졸버 자석(37)은 대신에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의 전방단부 주위에[0034]
위치하고 전방베어링(24)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양쪽 실시예들에서 상기 리졸버 자석(37)은 베어링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베어링의 고정 작용 때문에 유리하고, 즉, 상기 리졸버 자석(37)의 회
전 교란(distrubance of the rotation)이 최소값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는 금속재질인 단일 블록으로 유닛[0035]
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18)는 물론, 로터(14)와 관성 구동 부재사
이에 변위 또는 오프셋(offset) 운동없이 서로에 대해 매우 단단히 조립된다. 상기 관성 구동 부재(18)상에 작
용하지만 자성을 가지는 펄스에 견딜정도로 충분히 강하여, 상기 로터(14)에 대한 영구자석(35)의 자기장이 부
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일체형 유닛(integrated unit)을 위한 재료를 선택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목적
에 요구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한 일이다. 상기 일체형 로터(14)
와 관성 구동 부재(18)는 한 개의 전방 베어링과 한 개의 후방 베어링 또는 한 개의 중앙 베어링과 한 개의 후
방 또는 전방 베어링으로 구성된 오직 두 개의 베어링들내에서 저널(journalled)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공개특허 10-2014-0029472
- 7 -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국한되지 않는다.[0036]
대신에 본 발명은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부호의 설명
10a....전방 단부, [0037]
10b....후방 단부,
10....하우징,
13....정류자,
14....로터,
12....전기식 토크 전달 모터,
16....출력축,
15....펄스 유닛(15),
18....관성 구동 부재.
도면
도면1
공개특허 10-2014-0029472
- 8 -
도면2
공개특허 10-2014-0029472
- 9 -
도면3
공개특허 10-2014-0029472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