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파형관용 연결부 및 그 연결방법(JOINT FOR CORRUGATED PIPE AND CONNECTING METHOD OF THEPIPES)

좌절하지말자 2018. 2. 22. 18:11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F16L 25/0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09월27일
10-0628583
2006년09월19일
(21) 출원번호 10-2000-0027915 (65) 공개번호 10-2000-0077390
(22) 출원일자 2000년05월24일 (43) 공개일자 2000년12월26일
(30) 우선권주장 99-143510 1999년05월24일 일본(JP)
(73) 특허권자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국 오사카후 오사카시 요도가와구 미츠야미나미 1죠메 1반 33고
(72) 발명자 타츠타요시아키
일본국오사카후다카츠키시사카에죠1죠메2반1고토타쿠코교가부시기가
이샤나이
야마시타카즈야
일본국오사카후다카츠키시사카에죠1죠메2반1고토타쿠코교가부시기가
이샤나이
모치두키타케시
일본국오사카후다카츠키시사카에죠1죠메2반1고토타쿠코교가부시기가
이샤나이
타케나카켄타로
일본국오사카후다카츠키시사카에죠1죠메2반1고토타쿠코교가부시기가
이샤나이
(74) 대리인 서대석
김창선
심사관 : 남궁용
(54) 파형관용 연결부 및 그 연결방법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P)용 연결부는 2개의 반원형분리몸체로된 수지 연결부몸체(10)와 탄성물질로된 2개의 패킹(20)을
포함하며, 각 패킹(20)은 외측둘레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2개의 플랜지(22)(22)를 포함한다. 반원형의 각 연결부몸체(10)
는 폭방향으로 양측에지부(14)(14)에 의해 형성된 홈부(13)가 형성되어 연관 패킹(20)을 수용하고 반원형 연결부몸체의
둘레방향 양단쪽에 위치하는 양쪽 단부(12)(12)에는 체결볼트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수밀패킹(20) 각각은 반원형부
(21) 폭방향 중앙부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3)가 형성되고, 패킹(20)의 양측테두리부에 의해 요부(24)(24)가
등록특허 10-0628583
- 1 -
형성된다. 연관 연결부몸체(10)로 패킹(20)이 장착될 경우 양측 요부(24)(24)가 연결부몸체(10)의 양측 테두리부(14)(14)
보다 더욱 깊게 들어가게 되고, 둘레방향으로 패킹(20)의 양단부의 표면부(f,f)가 적절한 두께(t) 만큼 연결부몸체(10)의
양단부(12)(12)의 표면부(F)(F) 외측으로 더욱 돌출한다.
대표도
도 1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패킹 및 연결요부 사시도.
도 3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파형관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조인트의 측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파형관에 연결부의 접속방법을 보여주는 연결부 및 파형관의 측면설명도.
도 8은 2개의 파형관에 연결부가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9는 2개의 파형관에 연결부가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7에 대응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연결부 및 파형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연결부의 중앙횡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2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하는 파형관용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각 관은 단면 사각벽부와 단면 원형벽부
가 관의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원형벽부에서 환형돌출 스트립부가 형성된다.
종래, 여러가지 형태의 합성수지 파형관이 공지되어 있고, 이들 파형관을 접속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는 주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파형관과, 최소한 2개의 이상의 분리몸체로 형성된
2개이상의 주몸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으로 대략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자, 즉 2개의 분리 주몸체를 포함하는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통형 및 2개이상의 분리몸체형 관연결부 모두는 관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거나 관의 외주형상 보다 큰 치수를 갖
는다. 즉, 종래 관연결부 모두는 연결부에 의해 접속될 관의 외주 밖으로 돌출하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연결부에 의해 2개의 관이 함께 접속된 후 관의 접속부분에서의 치수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결부가 위
치하는 관 접속부분에서 다수의 관을 병렬로 배치하거나 적층하는 작업을 비접속부분에 비해 밀접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이
상식화 되어 있다.
등록특허 10-0628583
- 2 -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2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파형관용 연결부에 관한 것으로서, 각 파형관
의 격벽은 단면 사각벽부와 원형벽부가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돠고, 단면 원형벽부에는 원형돌출스트립부가 형성된
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부가 2개의 관을 함께 연결하더라도 관의 외주를 벗어나 돌출하여 관의 접속부분에서의 외
주 치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입의 관을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부분에서도 비접속부분과 같이 밀접한 방법으로 접속된 관을 병렬로 배치하거나 적층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파형관P용 연결부에 있어서는 파형관의 관벽(1)이 단면 사각벽부(2)
및 단면 원형벽부(3)와 관P의 축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이고, 단면 원형벽부(3)는 환형돌출스트립부(4)를 포함한
다. 또, 연결부는 분리된 형태의 2개의 합성수지연결부몸체(10)와 탄성물질로된 수밀패킹(20)을 포함하며 각 패킹(20)은
패킹의 반원형부(21)의 둘레방향 양단부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플랜지(22)(2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몸체(10)에는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부(14)를 제외하면 패킹(20)을 수용하는 홈부(13)가 되며, 연결부몸체(10)의
둘레방향 양단부(12)(12)에는 체결볼트구멍(15)(1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수밀패킹(20)에서 반원형부(21)의 폭방향 중앙
부는 내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가 되고, 패킹(2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은 요부(24)(24)가 된다. 패킹(20)이 연결부
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양측요부(24)(24)는 연결부몸체(10)의 양측 테두리부(14)(14) 보다 연결부의 외주둘레면측
으로 더욱 깊게 들어가는 형태가 되며, 패킹(20)의 둘레방향 양단부의 표면부(f,f)는 두께t 만큼 연결부몸체(10)의 양단부
(12)(12) 표면부(F,F) 외측으로 더욱 돌출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특징에 따른 합성수지 파형관(P)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파형관의
관벽(1)이 단면 사각벽부(2)와 단면 원형벽부(3)가 관(P)의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이고 단면 원형벽부(3)는
환형돌출스트립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방법에 있어서는 2개의 반원형분리몸체로된 2개의 합성수지연결부몸체
(10) 및 각 연결부몸체(10)의 둘레방향 양단부(12)(12)에 형성된 체결볼트구멍(15)(15)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이용하며, 2
개의 관(P,P)을 단면원형벽부(3)의 환형돌출스트립부(40)를 제외하고 절단한 후 이 절단부분을 접속하여 둘레방향으로 같
은 자세를 유지시킨다. 2개 관(P,P)의 접속 부분에 2개의 수밀패킹(20)을 삽입하고 2개의 연결부몸체(10)를 2개의 관
(P,P)의 단면 사각벽부(2)의 대각선에서 함께 접속시켜 2개의 관(P,P)을 함께 연결한다.
또다른 본 발명의 구성특징에 따른 합성수지 파형관(P)용 연결부에 있어서는 각 파형관의 관벽(1)이 단면 사각벽부(2)와
단면 원형벽부(3)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단면 원형벽부(3) 각각은 환형돌출스트립부(4)를 가지고
있고, 이 환형돌출스트립부(4)는 인근하는 2개의 사각벽부 사이에서 상기 단면 원형벽부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파
형관용 연결부는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몸체(10)와 한쌍의 수밀패킹(20)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몸체(10)
는 상호간 볼트로 결합되고, 각 반원형 연결부몸체는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부(14)(14)에 의해 형성된 홈부(13)를 가지며,
반원형 연결부몸체의 둘레방향 양단쪽에 위치하는 양쪽 단부(12)(12)에는 체결볼트구멍(15)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
밀패킹(20)은 각각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반원형 연결부몸체(10)의 홈부(13)에 수용되고, 상기 수밀패킹(20) 각각은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테두리부(24)(24)를 갖는 반원형부(21)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파형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돌출하는 돌출부(23)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테두리부(24)(24) 각각의 방사방향 두께는 상기 테두리부
(14)의 방사방향 높이 보다 작으며, 그 결과 각 패킹(20)이 상기 연결부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파형관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테두리부(24)(24)에 의해 상기 파형관의 상기 환형돌출부(4)가 수용되는 요부(24)가 형성되고, 상
기 패킹(20)의 둘레방향 양단부의 표면부(f,f)는 소정의 두께(t) 만큼 상기 연결부몸체(10)의 양단부(12)(12)의 표면부
(F,F) 외측으로 더욱 돌출한다.
각 수밀패킹(20)은 플랜지(22)(22)를 더 포함하고, 이 플랜지부는 둘레방향 반원형부(21)의 둘레방향 양단부에 배치되어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몸체(10)는 정규반원형 보다 조금 작은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몸체(10)는 상기 파형관P의 단면 사각벽부(2)의 외주형상과 같은 치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된다.
등록특허 10-0628583
- 3 -
상기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는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며, 이 리브(r,r) 각각
은 상기 패킹(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뻗는 동시에 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 돌출한다.
또,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양단부 표면부(f,f) 중 최소한 하나에는 리브(R)가 형성되며, 이 리브(R)는
상기 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서 종료한다.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소정의 두께(t)는 0.1 - 1.0mm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
한 범위는 0.2-0.5mm이다.
또,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홈부(13)는 돌출빔(13a)을 포함하며, 이 돌출빔(13a)은 홈부(13)의 폭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한편 관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또, 연결부에서 각 반원형 연결부몸체의 둘레방향 양단에는 패킹(20)의 플랜지(22)(22)를 수용하는 요부형 스텝부(1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패킹(20)이 각 연결부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플랜지 각각의 두께는 둘레방향
으로 요부형 스텝부의 각 깊이 보다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특징으로서의 합성수지 파형관용 연결방법에 있어서는 각 파형관이 단
면 사각벽부(2)와 단면 원형벽부(3)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관벽(1)을 가지며, 상기 환형벽부 중앙에 그리
고 길이방향으로 인근하는 2개의 단면사각벽부 사이에는 환형돌출부스트립부(4)가 상기 단면 원형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파형관 연결방법은
상기 환형돌출부스트립부(4)가 남겨진 상태로 상기 파형관의 축에 대해 수직평면으로 단면 원형벽부에서 상기 파형관 각
각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관의 상기 절단부분을 상호 접촉시킨 채로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자세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연결부가 2개의 반원형 분리몸체인 한쌍의 연결부몸체(10)를 포함하고, 각 연결부몸체(10)의 둘레방향 양단부(12)(12)에
는 체결볼트구멍(15)(1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또한 한쌍의 수밀패킹(20)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이 연결부를 상기
파형관(P,P) 쌍 중 접촉부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볼트구멍(15)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2개의 연결부몸체(10)를 함께 상기 2개의 관(P,P) 중 사각
벽부(2)의 대각선 상에서 접속하여 상기 2개의 관(P,P)을 함께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부를 구현하기 위해서 연결부몸체(10)가 정규반원형인 180도 보다 다소 작은 176-178도
정도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시에 연결부전체둘레에 걸쳐 체결력이 가해지게 하거나, 연결부몸체(10) 외측형상을 파
형관P의 단면사각형벽부(2)의 둘레형상과 거의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한다.
또, 연결부에는 수밀 패킹(20)의 돌출부(23) 내측면 둘레를 따라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거나, 수밀패킹(20)의 양단부 표
면부(f) 양쪽 또는 한쪽으로 돌출부(23)의 내측면쪽을 향하는 리브(R)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수밀패킹(20)이 양단부쪽으
로 나오는 돌출두께t는 0.1 - 1.0mm가 바람직하며, 더욱바람직하게는 0.2 - 0.5mm인데 그 이유는 이 범위에서 수밀상태
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부몸체(10)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물질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
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열가소성 경성수지, 또는 유리섬유로 보강된 FRP 등이 바람직하
며,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열화가 없고 인장강도가 뛰어난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밀패킹(20)을
형성하는 물질로는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뿐만 아니라 탄성을 갖는 연성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연결부몸체(10)와 수밀패킹(20)은 따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일체로 함께 결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시에 상호 끼워지게 할 수도 있다.
등록특허 10-0628583
- 4 -
(실시예)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2개의 파형관이 연결부에 의해 접속
된 것을 보여준다. 즉, 도 1은 본 바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전체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의 연결부몸체 및 패킹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이 연결부에 의해 접속되는 파형관의 정면도와 단면도들이며, 도
6은 연결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7은 연결부를 파이프에 접속하는 수단을 나타내는 연결부의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2개의 파이프에 대해 연결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부는 일조 2개의 연결부몸체(10)(10) 및 일조 2개의 수밀패킹
(20)을 포함하며, 일조 2개의 연결부몸체는 한개가 2개로 분리된 반원형 몸체와 같은 형태로 경성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된 2개의 몰딩으로 구성되고, 일조 2개의 수밀패킹(20)(20)은 각각 합성고무로 형성된 2개의 몰딩으로 구성되는 동
시에 각 수밀패킹은 외측둘레방향으로 반원형 몸체부(2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2)를 포함
한다.
연결부몸체(10)는 2개의 분리몸체 중 하나로 형성된다. 즉, 2개의 연결부몸체(10) 또는 2개의 분리몸체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때, 그 외측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이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측면테두리부(14)(14)를 제외하고 연결
부몸체(10)는 연관 수밀패킹(20)을 수용하는 홈부(13)로 구성되고, 각 양단부(112)(12)에는 체결볼트구멍(15)(15)을 포
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홈부(13)의 2개의 단부에는 요부형 스텝부(16)가 형성되어 패킹(20)의 플랜지(22)를 수
용한다.
또,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몸체(10)는 정규 반원형 보다 다소 작은 반원형이며, 이 때문에 연결부를 이용하여 2개
의 파이프를 함께 접속할 때 체결력이 연결부몸체(10)의 전체형상에 대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몸체(10)
의 외측형상은 도 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같이 파형관P의 단면사각벽부(후술함)의 외측둘레형상보다 다소 작다.
수밀패킹(20)의 반원형 몸체부(21)는 거의 평탄형 외측면을 가지며, 몸체부(21)의 폭방향 중심부가 돌출부(23)를 포함하
고, 이 돌출부(23)는 큰 두께로되는 한편 몸체부(21)의 내측면에서 돌출한다. 그리고 몸체부(21)의 양측 테두리는 각각 주
변측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24)(24)로서 돌출부(23)보다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다. 그리고 수밀패킹(20)의 폭은 연결
부몸체(10)의 홈부(13) 폭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연결부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킹(20)의 양측의 요부(24)(24)는 연결부몸체(10)의 양측 테
두리부(14)(14)에 비해 연결부 외측표면측에서 더욱 내부로 깊게 들어간 형태가 되므로 테두리부(14)(14)와 중앙의 돌출
부(23) 사이에는 중공의 홈, 즉 요부가 형성되며, 각 요부는 파형관P의 원형벽부(3)의 중간에 형성된 환형 돌출스트립부
(4)(후술함)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다. 파형관의 환형돌출스트립부(24)(24)는 요부(24)(24)에 끼워짐으로써
확고하게 유지되고, 파형관이 접속되었을 때 축방향으로의 파형관의 이동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접촉된
둘레면이 수밀구조로 밀봉된다. 또, 패킹(20)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양단부의 표면(f,f)은 연결부몸체(10)의 양
단부(12)(12) 표면부(F,F)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그 돌출 두께 t는 0.1 - 1.0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
직한 것은 0.2 - 0.5mm 범위이다. 이러한 설정조건 때문에 2개의 연결부몸체(10)가 함께 접속되어 파형관P의 접속용으
로 사용될 때 상호 대향하는 패킹(20)(20)의 표면부(f,f)가 더욱 확실하게 접속 되어 강하게 상호간을 누르게 되며, 그 결과
접촉된 표면에서의 수밀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20)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돌출부(23)의 내측면에 2개의 리브(r,r)가 배
치되고 이 리브(r, r)가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부(23)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하여 있다. 이들 리브(r,r)를 배치함으로써 파형
관의 절단테두리가 더욱 확실하게 고정되어 파형관 둘레방향에서의 수밀상태를 더욱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리
브(r,r)로서 1조가 2개의 리브로 구성된 2조의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킹(20)에 있어서 패킹돌
출부(23)의 내측면쪽으로 반원형 리브(R)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리브(R)의 단말부는 내측면 2개의 리브(r,r) 단말부와 연
속한다. 이것은 실질적인 사용에서는 패킹(20)(20)의 상호 대향표면부(f,f)의 접촉면에서의 수밀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한
다. 한편, 다른 표면부f에는 반원형 리브(R)가 형성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속될 2개의 관은 연결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편 정면도로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표면이
울퉁불퉁한 파형관이다. 관벽(1)은 단면 사각벽부(2)와 원형벽부(3)가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이며, 원형벽
부(3)의 외경은 사각벽부(2)의 외경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관P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원형벽부(3)의 중간부에는 환형돌출
등록특허 10-0628583
- 5 -
스트립부(4)가 형성되며, 이 환형돌출스트립부(4)와 사각벽부(2)의 중간에는 절단표시선(5)(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P)에 있어서 절단표시선(5)은 돌출스트립부(4) 측으로부터 단면 사각벽부(2) 측으로 직경이 다소 증대되는 경사
벽(6)(6)의 단말부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 절단선(5)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공지된 수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구조의 연결부를 파형관(P)에 적용할 경우, 접속될 2개의 파형관(P,P)을 각각 환형돌출스트
립부(4)를 절단하지 않고 남겨둔 채로 각 절단선(5)를 따라 각각 절단한다. 즉, 접속될 2개의 파형관(P,P)은 그 축에 대해
수직평면으로 단면원형부분에서 절단하되, 환형스트립부(4)는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둔다. 이와같이 절단된 단면을 상호
접촉시킨 상태에서 2개의 관(P,P) 각각의 환형돌출스트립부(4)(4)가 각각 연결부몸체(10)의 패킹(20)의 요부(24)(24)에
각각 끼워 지도록 하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2개의 연결부몸체(10)(10)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연결부몸체(10)
의 2개의 단부표면부(F,F)가 약 45도 선을 따라 뻗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연결부몸체(10)에 형성된 체결볼트구멍
(15)에 볼트(b)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연결부몸체가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2개의 분할연결부몸체(10)(10)가 함께 접속됨으로써 연결부몸체의 상호 대향접속표면이 약 45도의 각
도로 기울어지고, 체결 또는 접속볼트(15)(15)가 형성된 연결부몸체(10)의 단부(12)(12)가 관(P,P)의 단면사각형부(2)의
대각선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함께 접속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는 관(P,P)의 단면 사각벽부(2) 범위에서 함께 접
속될 수 있다. 즉, 접속부는 단면사각부(2)에 의해 형성된 가상 둘레면으로는 최소한 돌출하지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
면 연결부몸체(10)의 외관은 원호형이다. 또, 도 11에 따르면, 연결부(10)에 형성된 홈부(13)가 돌출빔(13a)을 포함하며,
이 돌출빔(13a)은 축방향을 따라 홈부(13)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연결부몸체(10)의 내측면에 돌출한다. 패킹(20)의 좌우측
요부(24)(24)의 벽은 큰두께를 가지고 뒷면측 쪽으로 돌출하며, 그 결과 결합부가 체결될 때 연결부의 쿠션작용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및 그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부는 합성수지관 접속용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합성수지관은 단면 사각벽부와 원벽부가 축방향을 교대로 연속하며, 단면 원형벽부에는 환형 돌출스트립부가 배치된
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는 2개의 분리몸체로서 형성된 2개의 합성수지 연결부몸체를 포함하고, 각 연결부몸체의
내측면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탄성물질로 형성된 수밀패킹을 수용할 수 있고, 연결부몸체에 수밀패킹이 장착된 상태에서
패킹의 양측 요부는 연결부몸체의 양측테두리부에 비해 보다 깊게 연결부몸체의 외측 둘레면측에 삽입된다. 그 결과 관의
환형 돌출스트립부가 패킹의 삽입요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 때문에 관의 축방향 이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연결부에 의한 관의 강력한 파지력 때문에 관의 접촉둘레면에서의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패킹의 양단부 표
면부(f,f)가 연결부몸체의 양단부 표면(F,F) 밖으로 돌출하므로 사용시에 패킹의 대향표면부(f,f)가 집중적으로 강력하게
압착되며, 이것은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확고한 수밀상태로 관을 접속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관접속방법에 있어서, 함께 접속되는 2개의 관이 단면 원형벽부의 환형돌출부를 제외한 채로 절단된
후 2개관의 각 절단 단부가 상기 연결부를 이용하여 함께 접속되고, 단면 사각벽부는 관의 둘레방향으로 동일 자세를 유지
하는 한편, 상호 단부가 접촉된 접속부분에는 2개의 수밀패킹이 삽입되고, 2개의 연결부몸체가 관의 사각벽부의 대각선
방향으로 함께 접속된다. 그 결과 관의 단면 사각벽부의 대각선부의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2개의 연결부 단부를 함께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연결부몸체의 접속부는 접속될 단면 사각벽부의 범위에서 함께 접속될 수 있다. 즉 2개의
연결부몸체의 접속부는 관의 단면사각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둘레면으로부터 최소한 돌출하지 않고 함께 접속될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따르면 종래에서는 얻을 수 없는 뛰어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즉, 다수의 관을 나란히 배치할 수 있고, 관이 연결부에 의해 접속되는 부분이 포함되더라도 상호간 구불거리지 않게 관을
적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 기
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등록특허 10-0628583
- 6 -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파형관(P)용 연결부로서, 각 파형관의 관벽(1)은 단면 사각벽부(2)와 단면 원형벽부(3)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
되며, 상기 단면 원형벽부(3) 각각은 환형돌출스트립부(4)를 가지고 있고, 이 환형돌출스트립부(4)는 인근하는 2개의 사각
벽부 사이에서 상기 단면 원형벽부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파형관용 연결부는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몸체(10)와 한
쌍의 수밀패킹(20)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반원형 연결부몸체(10)는 상호간 볼트로 결합되고, 각 반원형 연결부몸체는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부(14)(14)
에 의해 형성된 홈부(13)를 가지며, 반원형 연결부몸체의 둘레방향 양단쪽에 위치하는 양쪽 단부(12)(12)에는 체결볼트구
멍(15)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밀패킹(20)은 각각 탄성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반원형 연결부몸체(10)의 홈부(13)에 수용되고, 상기 수밀패
킹(20) 각각은 폭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24)(24)를 갖는 반원형부(21)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파형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돌출하는 돌출부(23)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테두리부(24)(24) 각각의 방사방향 두께는 상기 테두리부(14)의 방사방향 높이 보다 작으며, 그 결과 각 패킹
(20)이 상기 연결부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파형관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테두리부(24)(24)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파형관의 상기 환형돌출부(4)가 수용되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20)의 둘레방향 양단부의 표면부(f,f)는 소정의 두께(t) 만큼 상기 연결부몸체(10)의 양단부(12)(12)의 표면부
(F,F) 외측으로 더욱 돌출하며,
각 수밀패킹(20)는 반원형부(21)의 둘레방향 양단부에 배치되어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22)(22)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몸체(10)는 정규반원형 보다 조금 작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몸체(10)는 상기 파형관P의 단면 사각벽부(2)의 외주형상과 같은 치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몸체(10)는 상기 파형관P의 단면 사각벽부(2)의 외주형상과 같은 치수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등록특허 10-0628583
- 7 -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는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며, 이 리브(r,r) 각각은 상기 패킹(20)의 둘
레방향을 따라 뻗는 동시에 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는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며, 이 리브(r,r) 각각은 상기 패킹(20)의 둘
레방향을 따라 뻗는 동시에 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는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며, 이 리브(r,r) 각각은 상기 패킹(20)의 둘
레방향을 따라 뻗는 동시에 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는 2개의 리브(r,r)가 배치되며, 이 리브(r,r) 각각은 상기 패킹(20)의 둘
레방향을 따라 뻗는 동시에 관의 방사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양단부 표면부(f,f) 중 최소한 하나에는 리브(R)가 형성되며, 이 리브(R)는 상기 패킹(20)의 상
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양단부 표면부(f,f) 중 최소한 하나에는 리브(R)가 형성되며, 이 리브(R)는 상기 패킹(20)의 상
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1.
제3항에 있어서,
등록특허 10-0628583
- 8 -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양단부 표면부(f,f) 중 최소한 하나에는 리브(R)가 형성되며, 이 리브(R)는 상기 패킹(20)의 상
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상기 양단부 표면부(f,f) 중 최소한 하나에는 리브(R)가 형성되며, 이 리브(R)는 상기 패킹(20)의 상
기 돌출부(23)의 내측면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패킹(20)의 소정의 두께(t)는 0.1 - 1.0mm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3)는 돌출빔(13a)을 포함하며, 이 돌출빔(13a)은 홈부(13)의 폭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되는 한편 관의 방사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5.
제1항에 있어서,
각 반원형 연결부몸체의 둘레방향 양단에는 패킹(20)의 플랜지(22)(22)를 수용하는 요부형 스텝부(1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패킹(20)이 각 연결부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서 둘레방향으로 플랜지 각각의 두께는 둘레방향으로
각 요부형 스텝부의 깊이 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용 연결부.
청구항 17.
한쌍의 합성수지 파형관(P)을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각 파형관은 단면 사각벽부(2)와 단면 원형벽부(3)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관벽(1)을 가지며, 상기 환형벽부 중앙에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인근하는 2개의 단벽사각벽부 사이
에는 환형돌출부스트립부(4)가 상기 단면 원형벽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파형관 연결방법은
상기 환형돌출부스트립부(4)가 남겨진 상태로 상기 파형관의 축에 대해 수직평면으로 단면 원형벽부에서 상기 파형관 각
각을 절단하는 단계와,
등록특허 10-0628583
- 9 -
상기 관의 상기 절단부분을 상호 접촉시킨 채로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자세를 유지시키는 단계와,
연결부가 2개의 반원형 분리몸체인 한쌍의 연결부몸체(10)를 포함하고, 각 연결부몸체(10)의 둘레방향 양단부(12)(12)에
는 체결볼트구멍(15)(1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또한 한쌍의 수밀패킹(20)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이 연결부를 상기
파형관(P,P) 쌍 중 접촉부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볼트구멍(15)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2개의 연결부몸체(10)를 함께 상기 2개의 관(P,P) 중 사각
벽부(2)의 대각선 상에서 접속하여 상기 2개의 관(P,P)을 함께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방법.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628583
- 10 -
도면2
등록특허 10-0628583
- 11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0628583
- 12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0628583
- 13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0628583
- 14 -
도면9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0628583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