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POWER FROM ROTATING MOMENTOF DRIVING MOTOR WHEEL AND CONTROL SYSTEM FOR LAMP INA TUNNEL USING..

좌절하지말자 2018. 3. 2. 11:45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51) 。Int. Cl.7
F03G 7/00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2년10월04일
20-0291017
2002년09월19일
(21) 출원번호 20-2002-0019050
(22) 출원일자 2002년06월24일
(73) 실용신안권자 한우용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2가 산2동256번지 우성아파트 103동 2002호
이공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1가 414 롯데아파트 7동 505호
박효식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1가 코오롱 아파트 5동 401호
강찬성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 1가 731-4 호성주공 2차 아파트 217-2001
(72) 고안자 한우용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2가 산2동256번지 우성아파트 103동 2002호
박효식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평화동1가 코오롱 아파트 5동 401호
이공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1가 414 롯데아파트 7동 505호
강찬성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 1가 731-4 호성주공 2차 아파트 217-2001
(74) 대리인 임재룡
심사관 : 송재욱
기술평가청구 : 없음
(54)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
요약

본 고안은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 매설되는 프레임(120); 도로
와 교차방향으로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1동력축(140); 제1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개하여 제1동력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내구루브(132)가 형성되어 있는 제
1레버플레이트(130); 일단은 상기 제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 1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제1레버플레이트의 안내구루브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레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레버플레이트(150); 및 제1
레버플레이트 또는 제2레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제2레버플레이트에 복원력
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복원력제공부(170); 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의해 제1 레버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제
1 동력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구성 부재의
파손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을 방지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진동 및 소음 발생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표도
도 3
색인어
제1동력축, 제1레버플레이트, 안내구루브, 제2레버플레이트, 복원력제공부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의
운동변환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A-A 단면도로서, 제1레버플레이트가 초기 경사 위치에 있을 때 각 구성부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레버플레이트가 경사 위치에서 도로와의 수평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로서, 하우징의 상부에 덮개가 씌워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5a 및 5b는 도 3 및 도 4의 일방향 클러치의 작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가장 대표적인 일방향 클러치
인 일방향 래체트 클러치 및 일방향 롤러 클러치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동력발생장치에서 제2레버플레이트가 제2동력축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보
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자동차 터널의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도로서, 전력발생부와 전력변환부를 통해
조명등을 제어하게 된다.
도 8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얻어진 전압을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주는 승압형 DC-DC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조명등을 직접 구동하기 위한 안정기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동변환 어셈블리 2 : 복수개의 펌프
3 : 복수개의 에어 저장조 4 : 에어 터빈
- 2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5 : 박판 사각베이스 6 : 복수개의 지지부
7 : 로드(rod) 8 : 사각 레버 플레이트
9 : 기어 스트립 10 : 코일 스프링
11 : 기어 이빨 12 : 래체트 기어
110 : 하우징 112, 114 : 결합홈
120 : 프레임 122 : 하부프레임
124 : 상부프레임 126 : 수직관통구멍
128 : 멈춤돌기 129 : 확장개구
130 : 제1레버플레이트 131 : 결합돌부
132 : 안내구루브 136 : 일방향클러치
136' : 일방향 래체트 클러치 136" : 일방향 롤러 클러치
136a, 136f : 구동륜 136b : 포올(Pawl)
136c : 포올스프링 136d : 포올핀
136e : 내측 래체트 기어의 이빨 136g : 롤러
140 : 제1동력축 150 : 제2레버플레이트
152 : 롤러 160 : 제2동력축
170 : 복원력제공부 172 : 연결링크
173 : 이동성로드 174 : 확장돌기
175 : 스프링 176 : 멈춤블럭
180 : 덮개 182, 184 : 결합돌기
190 : 에너지전환부
221 : 동력발생장치 222 :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
223 : 전자식 안정기 224 : 밧데리 충전장치
225 : 밧데리 전원장치 226 : 절환장치
227 : 감시장치 228 : 조명등
- 3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231 : 주스위치 232 : 다이오드
233 : 에너지 축적용 인덕터 234 : 평활 콘덴서
235 : 증폭기
242 : 반도체스위치 243 : 인덕터
244 : 콘덴서 245 : 컨덴서
246 : 전자식 안정기 제어소자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자동차 터널 입구 전방 도로에 설치된 동력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륜의 회전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자동차 터널의 조명등용 전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자동차
도로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화력발전, 수력발전, 원자력발전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 지
금까지 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석에너지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
한 문제에 봉착하여 새로운 대체에너지원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풍력발전, 태양열발전, 조력발전, 열병합발전이 실용화되어 점차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지
만 아직은 효율 및 기타 여건면에서 화력발전에 뒤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 및 새로운 대체에너지원 개발에 대한 연
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체에너지원 개발의 일환으로 주행 차륜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가 착안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여러 건의 관련 특허가 국내외에 등록 및 출원되고 있다. 특히 미국 특허 제6,204,56
8호는 복수개의 운동변환 어셈블리(1), 복수개의 펌프(2), 복수개의 에어 저장조(3) 및 에어 터빈(4)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기계적 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즉, 도 1a는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b는 도 1a의 종래의 동력발생장
치의 운동변환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운동변환 어셈블리(1) 각각은 박판 사각베이스(5)를 구비하
는데, 상기 베이스(5)는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5)는 상기 일방향 도로에 매설된다. 상기 베이스(5)의 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로드(rod)(7)가 회동 가
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 어셈블리(1)는 한 쌍의 사각 레버 플레이트(8)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 플
레이트(8)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5)의 상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밑면에는 코일 스프링(10)이 상기
레버 플레이트(8)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되어 있다. 상기 레버 플레이트(8)의 타단에는 기어 스트립(9)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 스트립(9)은 복수개의 기어 이빨(11)을 가지는데, 상기 기어 이빨(11)은 상
기 로드(7)에 설치된 디스크 형상의 래체트 기어(12)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로드(7)에는 차량이 상기 레버 플레이
트(8) 위를 주행하는 경우에만 동력이 전달되고, 역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10)에 의하여 기어 스트립(9)이 상향 이동
- 4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하는 경우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펌프(2)는 상기 로드(7)와 연동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 저장조(3)는 상기
펌프(2)와 연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에어 저장조(3) 각각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에어 터빈(4)은 상기 에어 저장조(3)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게 된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도 1a 및 1b의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서술에 앞서 먼저, 상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는 높은 동력발생효율을 가져야 함은 물론, a) 강도가 충분한 구조를 가짐
으로써, 보수의 필요성이 적어야 한다는 점, b) 보수의 필요가 있어 보수를 하는 경우라도 차량통행에 최소한의 방해만
을 주어야 한다는 점, c) 빠른 보수가 가능해야 한다는 점 등이 충족되어야 한다.
도로는 매일 수많은 차량이 이용하는 공공 구조물이므로, 보수가 빈번하게 되면 이는 오히려 그 설치 목적을 상실하는
것이고, 다수개의 운동 변환 어셈블리 중 단 하나의 운동 변환 어셈블리의 보수가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도로의 사용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위의 요건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1a 및 1b의 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
래의 동력발생장치는 강도상 취약한 구조를 보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주행하는 차량은 그 중량이 매우 무거울 뿐
아니라, 매우 빠른 속도로 상기 레버 플레이트(8) 위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 플레이트(8)는 순간적으로
매우 빠른 하향 속도를 가지며 도로면과의 수평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주행하는 차량은 레버 플레이트(8)에 충격
하중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충격하중은 레버 플레이트(8)를 거쳐, 기어 스트립(9) 및 래체트 기어(12)에 전달된다.
따라서, 레버 플레이트(8)로부터 전달되는 충격하중은 기어 스트립(9)과 래체트 기어(12)의 1~2개의 기어 이빨쌍만
으로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기어 스트립(9)의 좌굴과 기어 스트립(9) 및 래체트 기어(12)의 기어 이빨의 파손 위험
성이 매우 높다. 더욱이,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충격 하중은 변동하중으로서 작용하게 되는 것을 감안할 때, 재료의 피
로에 의하여 파손의 위험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도 1a 및 1b의 장치에서, 레버 플레이트(8)는 베이스(5)의 상면부와의 힌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된
다. 따라서, 기어 스트립(9)과의 힌지점은 원호를 그리며 도로면과 수평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기어 스트립(9)과
의 힌지점은 레버 플레이트(8)가 경사 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 수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고 그 보다는 좌측 위치에 놓이
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어 스트립(9) 및 레버 플레이트(8)의 휨을 야기하여 기어 스트립(9) 및 레버 플레이트(8)
의 파손을 촉진시키고, 진동 및 소음을 야기한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8)의 베이스(5)와의 힌지점에도 충격 하중이 전
달된다. 이러한 기형적인 구조적 결함을 다소 완화하기 위하여, 베이스(5)에 형성된 기어 스트립(9)의 운동로의 폭을
크게 하는 경우, 이는 기어 스트립(9)과 래체트 기어(12)의 맞물림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기어 이빨의 파손
과 로드(7)의 진동 및 휨을 유발하는 등의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보수가 진행되는 동안 도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진다. 즉, 보수를 위하여서는 도
1b에 도시한 운동 변환 어셈블리(1)를 도로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를 작업장에 운반하여 보수하게 된다. 따라서, 보수
가 끝나 이를 다시 도로에 매설할 때까지는 도로에 생성된 움푹 패인 웅덩이로 인하여 도로 사용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
이다.

또한,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일방향 도로만을 상정하고 개발된 것이었다. 따라서, 예컨대 중앙분리대가 없는 자동차
도로를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추월을 하는 경우, 경사위치의 레버플레이트(8)로 인하여 차량에 심각한 사고의 위험성
을 초래할 수 있고, 아울러 레버플레이트(8) 및 레버플레이트(8)와 베이스(5)의 힌지 결합점의 파손으로 인한 제품 수
- 5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명 단축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일방향 주행이 확실히 보장되는 도로
에만 설치될 수 있는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차량 보유 대수의 급증으로 인하여, 휴가철, 명절뿐만 아니라, 평시에도 차량의 정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되고, 차량 정체구간에서 비록 짧은 거리에 불과하지만 때때로 후진하는 차량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곧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부품의 파손을 촉진시키는 일 요인이 되고, 따라서,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는 당초 기대되었던 제품 수명에 못
미치는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제품 신뢰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발생장치의 구조 및 동력전달 과
정을 강도에 기반을 둔 역학적 설계를 함으로써,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기구학적인 설계를 통하여, 각 구성 부재의 파손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을 방지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진동 및 소음 발생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보수 필요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일단 보수의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라도,
차량 통행 방해를 최소화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어느 정도의 차량 통행량이 확보되는 도로라면 일방향 도로와 양방향 도로 모두에 설치 가능한 동력발
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터널의 조명등 전원공급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는 기존 방식을 대
신하여, 주행 차륜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를 조명등 전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하여 얻어진 전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터널의 조명등 전원회로를 제
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반도체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회로기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도로에 매설되는 프레임(120); 상기
도로와 교차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1동력축(140); 상기 제1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
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개하여 상기 제1동력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내구루브(13
2)가 형성되어 있는 제1레버플레이트(130); 일단은 상기 제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
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의 상기 안내구루브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에 결
합되는 제2레버플레이트(150); 및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복원력제공부(170); 를 포함하여,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상기 제1 레버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상기 제1 동력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터널 조명등
용 제어장치는, 상기 동력발생장치를 자동차 터널 입구 도로에 매설하여 상기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을 이
용하여 터널 조명등을 구동하는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 6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즉,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에 매설되는 프레임;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회
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1동력축; 상기 제1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개하여 상기 제1동력축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내 구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1레버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제
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의 안내 구루브
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레버플레이트;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
2레버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및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복원력
제공부; 상기 제1동력축에 연결되어 제1동력축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변환부; 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륜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 클러치로는 일방향 래체트 클러치 또는 일방향 롤러 클러치가 사용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상기 제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
대측상에서 상기 제1동력축에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2동력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
고,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제2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
개하여 상기 제2동력축에 결합되고, 상기 에너지변환부는 상기 제2동력축과 연결되어 제1동력축 및 제2동력축의 회전
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수직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통구멍에는 그 소정 높이
내주에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에 확장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연결링크, 이동성 로드, 스프링 및 멈
춤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성 로드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이동성 로드의 타단은 상기 멈춤돌기 하면에 걸
리도록 확장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이동성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멈춤블럭에 결
합되고, 상기 멈춤블럭은 상기 확장개구에 삽설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내설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 양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아울러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기
위하여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보수가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차량 통행에 주게 되는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신속
하고도 용이하게 보수 작업을 끝마칠 수 있도록 한다. 즉, 보수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덮개를 삽입하여 차량 통행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역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프레임 및 그에 설치되어 있는 각 구성 부재들의 어셈블리
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보수를 하게 된다. 보수를 끝마친 후에는, 프레임 및 그에 설치되어 있는 각 구성 부재 세
트를 다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하우징에 삽입 설치한 후, 덮개를 제거함으로써 보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동력축에는 플라이휠이 결합된다. 플라이휠은 관성력을 이용하여, 단속
적인 차량 통행에도 불구하고 동력축이 지속적이면서도 균일한 회전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너지전환부는 상기 제1동력축에 연동되어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펌프; 상
기 펌프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축적하는 에어저장조; 및 상기 에어저장조로부터 축적된 압축공기를 제공받
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에어터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7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
임과 하부프레임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레버 플레이트와의 반복적인 충돌에 의한 파괴에 의하여 프
레임의 교체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동력발생장치에서는 프레임 전체를 교체하고 아울러 프레임 내부에 설치
되어야 하는 구성부재들을 새로운 프레임에 재설치 할 것이 요구되었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간단히 상부 프레
임만을 교체함으로서 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끝마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륜 회전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발생된 전력을 안정된 직류전압으
로 변환시켜 주고 입력전원단의 역률을 개선시키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
PS), 조명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안정기, 조명등제어장치 고장시 약 33% 정도
의 조명등을 구동하기 위한 밧데리 전원장치, 또한, 밧데리 전원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밧데리 충전장치 등을 구성하
여 터널내의 조명등을 제어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차륜 회전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는 자동차 터널 입구 전의 도로에 설치
하며,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도로의 교차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생된 전력을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는 입력
전압 역률개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승압형 DC-DC 컨버터의 구조를 적용하며, 승압형 DC-DC 컨버터 구조는 상기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얻어진 직류전압을 입력전압으로 받아,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에 의하여 포함
된 제어소자의 기능에 의하여 주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파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주 스위치와 보조 다이오드의
스위칭 작용 및 에너지 축적용 인덕터와 평활 콘덴서의 필터링 작용에 의하여 안정된 직류전압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
렇게 얻어진 직류전압은 조명등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의 안정기로 전달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조명등 구동용 안정기는 상기의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로부터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조명등을 구동하기 위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전자식 안정기로서, 전압원 방식의 직렬 공진형 하프브
리지 인버터의 구조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내의 조명등은 상기의 조명등 구동용 안정기에 의하여 구동되며, 이중 약 3
3% 가량은 상기의 조명등 구동용 안정기의 오동작시를 대비하여 포함된 상기의 밧데리 전원장치로부터도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밧데리 전원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상기의 밧데리 충전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의 밧데리 충전장치는 상기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의 밧데리 전원장치를 충
전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상기의 차륜 회전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터
널내의 모든 조명등을 구동하고, 상기의 동력발생장치의 고장시에는 충전되어 있던 상기의 밧데리 전원장치로부터 전력
을 공급받아 전체의 약 33% 가량의 조명등을 구동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는 동력발생장치로부
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밧데리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전원 선택은 동력
발생장치의 이상유무를 감지하여, 이상발생시 자동으로 동력발생장치의 연결을 차단하고, 밧데리 전원장치로 연결을 바
꿔줄 수 있는 절환장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8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
B'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및 그 내부 구성 요소는 도로에 매설되고, 동력축을 통하여 전달
되는 회전 운동은 에너지전환부(190)가 전달받아 이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에너지전환부(190)는 간단하게는 동력축과 발전기를 직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력축에 연동되어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축적하는 에어저장조 및 상기 에어저장조로부터
축적된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에어터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a의 동력발생장치의 A-A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하우징(110), 프레임(120), 제1동력축(140), 제1레버플레이트(130), 제2레버플레이
트(150), 복원력제공부(170), 및 에너지전환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110)은 도로에 매설되어 본 고안의 각 구성 부재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도로
와 교차 방향 양 측면 및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프레임(120)이 착탈될 수 있고, 보수
시 상면에는 덮개(180)가 씌워진다.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20)은 상부프레임(124)과 하부프레임
(122)으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분할 프레임 구조는 동력축 등의 설치, 해체 용이성 및 신속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중앙에 복원력제공부(1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관통구멍(126)을 구비한다. 수직관통구멍(
126)에는 그 소정 높이 내주에 멈춤돌기(128)가 형성되고, 하단에 확장개구(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
(124)으로는 탄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레버플레이트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감쇠시킴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할 수
도 있다.


제1동력축(140)은 상기 상부프레임(124)과 하부프레임(122)의 분할면상에서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다. 동력발생장치가 여러 차선에 걸쳐 설치되더라도,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는 제1동력축(140)이 단일축으로 설치되거
나, 적어도 커플링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도 2차선에 걸쳐 동력발생장치
가 설치되더라도, 1동력축은 단일축을 이루거나, 적어도 커플링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 제1동력축(140)은
베어링에 의하여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프레임(124)과 하부프레임(122)의 분할면상에 설치되
므로, 제1동력축(140)을 다수개의 차선에 걸쳐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커플링 축이음을 하기에 용이한 작업환경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제1레버플레이트(130)는 차량이 그 상면을 통과함으로써 경사 위치로부터 도로와의 수평위치로 회전되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복원력제공부(170)에 의하여 초기 경사위치로 복원되는 복원운동을 하게 된다. 제1레버플레이트(130)의
일단은 일방향클러치(136)를 매개하여 제1동력축(140)에 결합된다. 일방향클러치(136)는 제1레버플레이트(130)가
초기 경사위치에서 도로와의 수평위치로 회전되는 경우 제1동력축(140)으로 토오크가 전달되도록 하고, 반대로 제1레
버플레이트(130)가 도로와의 수평위치에서 초기 경사위치로 복원되는 경우, 제1동력축(140)으로 역방향 토오크가 전
달되지 못하도록 한다. 일방향클러치(136)로는 일방향래체트클러치, 일방향롤러클러치 등이 사용된다. 한편, 제1레버
플레이트(130)의 타단에는 다수개의 결합돌부(131)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결합돌부(131)에는 안내구루브(132)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향클러치는 제1레버플레이트(130)와 마치 기어 맞물림 상태와 흡사하게 결함된다. 따라서, 제1레버플레이트를 통
하여 전달되는 충격하중은 다수 개의 이빨쌍이 분담하여 지탱하게 되므로, 하중 집중 현상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1b의 동력발생장치에서 기어 스트립과 래체트 기어가 1~2개의 이빨쌍만으로 충격하중을 지탱하
는 것과는 확연히 대비되는 것이다.
- 9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제2레버플레이트(150)는 일단은 제1동력축(140)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의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150)의 일단이 단순히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
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클러치를 매개하여 제2동력축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레버플레이트(150)는 타단에 제1레버플레이트(130)의 결합돌부(131)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결합요부를 구비하는
데, 결합요부에 형성된 공간을 가로질러 롤러(152)가 설치된다. 롤러(152)는 제1레버플레이트(130)의 결합돌부(13
1)에 형성된 안내구루브(132)를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복원력제공부(170)는 제1레버플레이트(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1레버플레이트(130)가 도로와의 수평위치에서 초
기의 경사위치로 복원되도록 제1레버플레이트(1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도 3에서는 제1레버
플레이트(130)의 타단에 복원력제공부(170)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
2레버플레이트(15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복원력제공부(170)로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변형 실시가 가능한데, 즉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하나의 스프링을 제1레
버플레이트(130) 또는 제2레버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접촉 또는 결합되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프링의
경우에도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판 스프링 등과 같은 다양한 탄성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도 3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연결링크(172), 이동성로드(173), 스프링(175), 멈춤블럭(1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원
력제공부(170)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링크(172) 일단이 제1레버플레이트(13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연결링크(
172)의 타단은 이동성로드(173)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다. 이동성로드(173)의 타단은 멈춤돌기(128)의 하면에 걸리
도록 확장돌기(174)를 구비한다. 스프링(175)의 일단은 이동성로드(173)의 타단에 결합되고, 스프링(175)의 타단은
멈춤블럭(176)에 결합된다. 멈춤블럭(176)은 확장개구(129)에 삽설됨으로써, 복원력제공부(170)를 위치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a의 동력발생장치에서 설치 또는 보수를 위하여 하우징(110)에 덮개(180)를 씌운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
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를 덮기 위하여 덮개(180)를 씌움으로써 차량 통행에 전혀 방
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 및 덮개(180)는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는 차선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여러 차선에 걸친 단일 하우징 및 단일 덮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동력발생장치의 설치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하우징(110)을 상단이 도로면과 일치되도록 도로에 매설한 후
덮개(180)를 씌우고, 프레임(120) 및 그 내부에 조립된 구성부품들의 어셈블리를 도로와 방향 측면, 즉 도로 가장자리
로부터 하우징(110)과 덮개(180) 사이의 공간에 차선의 수에 맞게 밀어 넣은 후 덮개(18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빼내면 스프링(175)의 복원력에 의하여 레버플레이트가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적당한 높이로 경사지게 올라
오게 된다.

다음으로 보수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덮개(180)를 도로 가장자리로부터 덮개(180)를 밀어 넣어 하우징(
110)의 상부에 씌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측벽 상부에는 결합홈(112,114)이 측벽 상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덮개(180)의 가장자리 하면에는 결합돌기(182,18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프레임(120) 및 그 내부에 조립된 구성부품의 어셈블리를 역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해낸다. 그 후 보수가 필요한 구성부를 보수한 후, 역으로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로 밀어 넣는다.
다음, 덮개(180)를 도로 가장자리를 통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해냄으로써 보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5a 및 5b는 도 3 및 4의 일방향클러치(136)의 작동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가장 대표적인 일방향클러치
(136)인 일방향 래체트 클러치(136') 및 일방향 롤러 클러치(136")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 10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 5a는 일방향 래체트 클러치(136')를 도시하고 있는데, 구동륜(136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포올(Pa
wl)(136b)에 걸려서 종동륜, 즉 제1동력축(14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구동륜(136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구동륜(136a)의 동력은 제1동력축(140)에 전달되지 못하고 구동륜(136a)은 공전하게 된다. 미설
명 도면부호 136c, 136d, 136e는 각각 포올스프링, 포올핀 및 내측 래체트 기어의 이빨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방향 래
체트 클러치(136')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로서는 자전거의 프리휠(Free Wheel)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5b의 일방향 롤러 클러치(136")는 홈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동륜(136f)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
36g)가 경사가 진 좁은 곳에 들어가 쐐기와 같이 견고히 박혀져 마찰력이 생겨서 종동륜, 즉 제1동력축(140)을 역시
시계방향으로 일체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구동륜(136f)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롤러(152)는 넓은 곳에
들어가 구동륜(136f)의 동력은 제1동력축(140)에 전달되지 못하고 구동륜(136f)은 공전하게 된다. 이러한 일방향 롤
러 클러치(136")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로서는 자동차의 프리휠을 들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동력발생장치에서 제2레버플레이트가 일방향클러치(136)를 매개하여 제2동력축
(16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 경우 제2동력축(160)은 에너지전환부(190)와 연결
되어 동력발생 구성요소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로서, 상기의 동력발생장치(221)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공급받아,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
(222)를 이용하여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조명등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 안정기(223)로 입력시킨다.
또한 상기의 동력발생장치(221)로부터 발생된 전압은 밧데리 충전장치(224)를 통하여 비상시 터널내의 조명등(228)
을 구동하기 위한 밧데리 전원장치(225)를 충전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서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223)는 동력발생장치(2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밧데리 전원
장치(2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구조이어야 하며, 전원 선택은 동력발생장치(221)의 이상유무를 감지하
는 감시장치(227)를 사용하여, 이상발생시 자동으로 동력발생장치(221)의 연결을 차단하고, 밧데리 전원장치(223)로
연결을 바꿔줄 수 있는 절환장치(226)가 포함되어야 한다.
도 8은 발생된 전력을 안정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222)로서, 입력전압 역률개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승압형 DC-DC 컨버터의 구조를 적용한다. DC-DC 컨버터는 직류전압을 입력하여, 안정된 직류 입력전압
을 출력으로 얻는 구조로서, 특히 승압형 DC-DC 컨버터는 입력전압에 비하여 출력전압이 높은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승압형 DC-DC 컨버터는 회로구조상, 필터역할을 겸한 에너지 축적용 인덕터(233)가 입력측에 있기 때문에 입력
전류의 왜곡에 의한 역률저하를 줄일 수 있어 역률보상 목적에 적합한 구조의 DC-DC 컨버터이다.
승압형 DC-DC 컨버터는 상기의 동력발생장치(221)로부터 얻어진 직류전압을 입력전압으로 받아, 컨버터의 출력을
감지하는 증폭기(235)에 의해 스위칭되는 주스위치(231)의 도통구간 동안에 에너지 축적용 인덕터(233)에 저장한
후, 주스위치(232)의 차단구간 동안에 인덕터(233)에 축적된 에너지가 다이오드(232) 및 평활 콘덴서(234)를 통하
여 출력전압으로 전달되는 동작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자동차 터널용 조명등(228)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식 안정기(223)로서, 전압원 방식의 직렬 공진형 하프브리지
인버터의 구조로 구성한다. 직렬 공진형 하프브리지 인버터는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222, 241)로부터 직류전압
을 입력받은 후, 전자식 안정기 제어소자(246)를 이용하여 2개의 반도체스위치(242)의 스위칭 작용을 위한 스위칭 파
형을 발생시킨다. 상기의 반도체스위치(242)는 인덕터(243) 및 콘덴서(244)로 구성된 직렬공진회로의 공진현상을
이용하여 조명등(228, 245)을 구동한다. 미설명 부호 245는 필라멘트 전국 연결용 콘덴서이다.

- 11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이상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
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한계는 다음의 특
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고안의 효과

이상, 본 고안의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의하면, 동력발생장치의 구조 및 동력전달 과
정을 강도에 기반을 둔 역학적 설계를 함으로써,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구성 부재의 파손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을 방지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진동 및 소음 발생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보수 필
요성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일단 보수의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라도, 차량 통행 방해를 최소화하고, 간편하면서도 신속
한 보수를 가능하며, 일방향 도로와 양방향 도로 모두에 설치 가능하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도로에 매설되는 프레임(120);
상기 도로와 교차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1동력축(140);
상기 제1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개하여 상기 제1동력축에 일단이 결
합되고, 타단에는 안내구루브(132)가 형성되어 있는 제1레버플레이트(130);
일단은 상기 제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의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의 상기 안내구루브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레버플레이트(150); 및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레버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복원력제공부(170);
를 포함하여,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상기 제1 레버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상기 제1 동력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이 얻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차륜 회전운동으로부터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도로와 교차방향으로 상기 제1동력축이 설치되는 반대측상에서 상기 제1동력축에 평행하도
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2동력축(16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2레버플레이트(150)의 일단은 상기 제2동력축에 일방향 회전력만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방향 클러치를
매개하여 상기 제2동력축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내설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 양 측면이 개방
되어 있고, 아울러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110); 및
- 12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기 위하여 상기 도로와 교차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180); 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청구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축에 연결되어 제1동력축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전환부(190)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청구항 5.
제 3 항의 동력발생장치를 자동차 터널 입구 도로에 매설하여 상기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을 이용하여 터
널 조명등을 구동하는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정상동작 여부에 따라 조명등의 전원을 일반 상용전원 또는 상기 동력발생장치 중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터널 조명등용 제어장치.
도면
도면 1a
- 13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면 1b
도면 2a
- 14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면 2b
도면 3
도면 4
- 15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면 5a
도면 5b
- 16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면 6
도면 7
- 17 -
등록실용신안 20-0291017

도면 8
도면 9
- 18 -